반응형
상황이론
상황이론이란 지도자의 능력과 지도성의 효과를 결정하는 것은 지도자가 처한 상황이 중요하며 상황이 다르다면 지도자의 특성과 지도자의 유형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지도성 유형
지도성 행위
- 과업 행위 : 지도자는 부하직원들에게 무슨 과업을 언제, 어떻게 수행해야 할 것인가를 설명함으로써 일방적인 의사소통으로 이루어진다.
- 관계성 행위 : 지도자는 사회·정서적인 지원, 즉 심리적 위로를 제공하고 일을 촉진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쌍방의 의사소통에 전념한다.
구성원의 성숙도
- 직무 성숙도 : 종업원의 개인 직무수행 능력을 말한다.
- 심리적 성숙도 : 종업원의 개인적 동기 수준을 말한다.
변형적 지도성(변화적, 변혁적)
거래적 지도성 특징
- 상황적 보상 : 노력에 대한 보상계약, 근무성과에 대한 보상약속, 성취인정 등이다.
- 잘못에 대한 적극적 관리 : 규정과 기준에 벗어나는 것을 찾고 감시하여 그러한 행동을 교정한다.
- 잘못에 대한 소극적 관리 : 조직이 정한 기준에 도달하지 않을 때만 관리한다.
- 자유방임 : 책임회피, 결정의 기피가 나타난다.
변형적 지도성의 특징
- 비전 : 단기적인 목표보다는 새로운 비전을 창출하고 장기적인 목표에 구성원을 집중시킨다.
- 이념화된 영향력 : 구성원들이 조직의 급격한 변화를 수용, 신뢰와 존경을 받을 수 있는 이념화된 영향력을 지닌다.
- 영감적 동기유발(감화력) : 조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신념과 기대를 가질 수 있는 영감적인 동기유발을 특징으로 한다.
- 지적 자극 : 구성원들이 창의적이고 혁신적 사고를 지닐 수 있도록 지적인 자극을 준다.
- 개별화된 배려 : 개인적인 성장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는 개별화된 배려를 한다.
- 카리스마적 영향력, 도덕성 등이 있다.
분산적 지도성
- 지도성은 특정 부서에 국한된 몇 사람만이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지동성을 조직의 질(체계적 특징)로 간주한다.
- 지도서은 조직을 구성하는 역할들의 네트워크를 따라 흐르는 것이다.
반응형
'교육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선조직 & 참모조직 (0) | 2021.06.10 |
---|---|
조직이론 (0) | 2021.06.10 |
지도성 & 과리격자 (0) | 2021.06.10 |
직무설계 & 몰입 (0) | 2021.06.10 |
기대이론 & 공정성 이론 (0) | 2021.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