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책결정 이론모형
모형 | 설명 |
합리모형 | 인간은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모든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분석·종합하여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는 인간의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 가능한 대안을 모두 검토해서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고자 한다. 과정의 비현실적이고, 전례가 없는 새로운 문제해결에는 적용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
만족모형 | 합리모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한된 것으로 최적의 대안보다는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찾는 모형이다.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대안을 모색하지만 최종적인 대안을 결정할 때는 더 만족스러운 대안을 선택한다는 접근방법이다. 주관적인 과정으로 파악하고 객관적 척도가 없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점증모형 (점진모형) |
기존의 정책이나 결정을 점진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모형이다. 기존의 틀을 탈바꿈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틀 속에서 수정하여 보다 개선된 대안을 추구한다. 보수적인 성향을 가지며, 새로운 목표를 추구하지 않고 무사안일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
혼합모형 | 합리모형 + 점증모형 기본결정은 합리모형을 적용하고, 세부결정은 점증모형을 적용한다. 새로운 모형이 아니라 기존의 모형을 절충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 |
최적모형 | 합리모형 + 초합리성(직관, 판단, 창의)을 동시에 추구한다. 합리적 모형을 한층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정책결정에 있어 사회적 과정에 대한 고찰이 불충분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
쓰레기통 모형 |
의사결정은 합리성보다는 우연에 더 의존한다. 불확실한 목표, 불분명한 기술, 유동적인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일부 교육조직 등에서 부분적, 일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모든 조직에 적용될 수 없다는 비판을 받는다. |
정책결정의 4가지 관점
- 합리적 관점(합리적 판단으로서 의사결정) : 의사결정이란 목표 달성을 위한 수많은 대안 중에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다.
- 참여적 관점(합의로서 의사결정) : 의사결정을 합리적인 이성적 판단이라기보다 당사자 간의 논의를 통한 합의의 결과로 본다.
- 정치적 관점(타협으로서 의사결정) : 조직에 대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수많은 이익집단의 존재를 전제하고 의사결정이란 이러한 이해 집단 간의 타협의 결과라고 본다.
- 우연적 관점(우연적 선택으로 의사결정) : 결저 행위가 합리적인 사고나 합의 혹은 타협의 산물이라기보다 의도하지 않은 어떤 상황이나 사정에 의해 우연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반응형
'교육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직교사와 수석교사 (0) | 2021.06.11 |
---|---|
의사소통의 유형 (0) | 2021.06.11 |
장학의 종류 (0) | 2021.06.11 |
장학 (0) | 2021.06.11 |
학습공동체 & 실천공동체 (0)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