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직관
- 성직관은 피교육자의 인격형성을 돕는 고도의 정신적인 봉사 활동을 중요시한다.
- 피교육자에 대한 교직의 소명의식이 강조한다.
- 교직의 처우개선보다는 사랑과 봉사 정신을 강조한다.
노동직관
- 노동직관은 정신적인 노동도 육체적인 노동만큼 강조한다.
-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수와 처우 개선과 근무 조건의 향상을 중요시한다.
- 단체 교섭·단체 행동·단결권 등 노동 3권 보장을 주장한다.
공직관
- 공직관은 교육활동을 사적 활동이 아니라 공적 활동으로 본다.
- 공공 이익을 위해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를 강조한다.
- 법적으로 신분을 보장받고 기본권은 제한됨을 강조한다.
전문직관
- 고도의 기능과 지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 교직은 학생 교육에 높은 수준의 지식과 교수 방법에 대한 전문적인 기술을 지닌다.
- 넓은 범위의 형식적 교육이 필요하다. 교사는 단기간에 양성되지 않고 장기간 교육으로 만들어진다.
- 봉사나 조언에 의하여 보수나 봉급을 받는다. 물건을 사고파는 상거래에 의해 경제적 보상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조언을 하고 교육에 봉사를 통해서 보수를 받는다.
- 권위 있는 집단으로 전통을 가진다. 과거에서부터 내려온 전통과 전문직 단체를 지닌다. 우리나라는 교직에 대한 여러 개의 자치적인 전문적 단체와 윤리강령을 지닌다.
교직의 특수성
-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미성숙자의 행동변화에 초점을 둔다.
- 사회발전에 역할을 한다.
- 봉사적으로 국가에 큰 영향을 준다.
반응형
'교육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제도 (0) | 2021.06.12 |
---|---|
교사의 권리와 의무 (0) | 2021.06.11 |
학급담임의 역할과 학급경영의 원리 (0) | 2021.06.11 |
보직교사와 수석교사 (0) | 2021.06.11 |
의사소통의 유형 (0)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