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서양교육사

교육사에서의 플라톤

by ⓨⓐⓝⓖ 2021. 5. 12.
반응형

 20세가 되는 해에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를 만나 8년간 지도를 받는다. 가장 예민한 청년의 시기에 스승을 만나서 철학의 기초를 다졌다.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죽고 난 후 세상을 다니며 자신의 철학을 굳건하게 세웠다. 그리고 아테네에 돌아와 아카데미아를 만들어 후학들을 교육했다. 플라톤의 교육사상은 국가론에 저술되어 있다.

 

 

 

플라톤의 교육

 플라톤은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선의 이데아를 인식하는 것이라 하였다. 교육은 순수한 빛을 향해 천천히 영혼의 눈을 돌리는 것이고, 도덕과 자기 훈련을 통해서 점진적으로 지혜를 습득하도록 돕는 것이고. 또 교육은 영혼에 내재하고 있는 능력을 현상보다는 이데아에 전향시키는 영혼의 전향술이라 하였다.

 

이데아

  • 동굴 : 무지와 오류로 둘러싸인 현상의 세계를 말한다.
  • 누군가 : 교사나 교육자, 철인을 의미한다. 무지의 현상 세계를 벗어나게 만드는 교육자를 의미한다.
  • 동굴 밖 : 진리의 세계인 이데아의 세계를 지칭한다.
  • 태양 : 이데아의 세계에서 가장 핵심인 선의 이데아를 말한다.

 

플라톤 교육의 단계

  • 출생~18세 : 음악과 체육을 모든 국민에게 가르친다. 음악교육과 체육교육의 조화있는 교육을 통해 건전한 청소년으로 만든다.
  • 18~20세 : 체육과 군사훈련을 실시한다. 국가를 수호하기 위해 전쟁의 공포심을 갖지 않게 하는 용감한 시민을 양성한다. 이 군사 훈련이 끝난 후 선발시험을 치러 떨어진 사람은 전제를 주요 덕목으로 하는 생산 계급으로 한다.
  • 20~30세 : 수학과 기하학, 천문학, 화성학 등을 교육한다.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이 과목들은 사고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다. 이 교육 이후 선발시험을 치고 떨어진 사람은 용기를 덕목으로 하는 전사 계급으로 한다.
  • 30~35세 : 변증법을 배운다. 변증법이란 포괄적인 의미의 철학을 뜻한다. 사물의 배후에 있는 더 깊은 법칙과 원리를 깨우치게 한다.
  • 35~50세 : 앞의 교육내용들을 현실에 적용한다. 이 과정의 사람들은 지혜를 덕목으로 하는 철인계급이다. 정의로운 국가는 철인 계급, 전사 계급, 생산 계급이 조화를 이룬 상태의 국가를 말한다.

 

플라톤 교육의 현대적 의의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과 인격 교육을 강조한다. 교육은 영혼의 전향을 도모하는 과정이다. 국가를 이루는 여러 계급들이 조화를 이룬 상태를 정의롭다 보고 사회 계급의 통합을 강조한다. 남녀평등을 강조하고 동일한 교육을 받을 것을 주장한다.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국가 교육 체계를 강조한다.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교육제도를 강조한다.

반응형

'교육 > 서양교육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학주의 교육  (0) 2021.06.12
신교와 구교의 비교  (0) 2021.06.12
교육사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  (0) 2021.05.15
인문주의(문예부흥의 교육)  (0) 2021.05.14
소피스트&소크라테스 진리관  (0) 2021.05.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