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 인간 중심 교육이다.
- 전인교육이다.
- 3학 중심의 자유교육이다. (문법, 수사학, 논리학)
- 실용주의 교육이다. (실학 주의, 산업혁명)
- 도덕교육이다.
- 언어중심으로 고대문학을 강조한다. (키케로 주의)
개인적 인문주의
이탈리아 중심으로 개인의 교양에 치중되고 심미적이고 귀족적인 특징이 있다. 자유교육, 인간 완성의 목적을 가지고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과 고전어, 체육, 음악을 가르친다. 교수의 개성에 따른 강의법으로 교육하며 학자로는 페트라르카, 보카치오가 있다.
사회적 인문주의
네덜란드 중심으로 사회개혁, 도덕개혁을 중요시하고 종교적이며 민중적인 인문주의이다. 종교와 도덕에 의한 사회를 만들고 전체의 행복을 지향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고전문학과 성서 문학을 가르치며 학생의 자치활동을 중시하고 흥미위주의 교육을 한다. 학자로는 에라스무스, 비베스, 라블레가 있다.
카케로 주의
키케로의 문장 구성과 형식을 모방하고 언어주의이며 편협한 인문주의이다. 선의 생활화와 웅변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키케로의 작품으로 교육하며 도덕적 환경을 조성하고 교훈적 내용으로 교육한다.
반응형
'교육 > 서양교육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학주의 교육 (0) | 2021.06.12 |
---|---|
신교와 구교의 비교 (0) | 2021.06.12 |
교육사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 (0) | 2021.05.15 |
소피스트&소크라테스 진리관 (0) | 2021.05.12 |
교육사에서의 플라톤 (0) | 2021.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