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아개념
자아개념은 자기 자신으 탕니과 같이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자신의 능력이다. 학생이 자신의 영어, 수학, 과학 등 자신의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을 학문적 자아개념이라고 한다. 자신의 성격이나 정서, 사회성 등에 대한 자아개념을 비학문적 자아개념이라 한다.(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자아개념)
기대수준(포부수준)
학습자가 학습과제에 대한 성취도를 기대수준 또는 포부수준이라고 한다.
각성수준
각성상태란 유기체의 일반적인 흥분 상태를 의미한다. 최적의 각성수준은 중간수준이며 각성수준이 최저일 때는 행동이 일어나지 않고 각성수준이 과하게 높으면 불안상태가 되서 행동의 능률성이 떨어진다.
불안연구
불안도 각성수준과 같은 형태를 보인다. 중간 정도의 불안일 때 행동이나 학업의 성취가 높게 나타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키너의 강화이론(작동적 조건화) (0) | 2021.05.13 |
---|---|
파블로프의 개 실험 (고전적 조건화) (0) | 2021.05.13 |
자기결정이론&자기가치이론 (0) | 2021.05.13 |
귀인이론 (0) | 2021.05.13 |
동기이론 (0) | 2021.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