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심리학

파블로프의 개 실험 (고전적 조건화)

by ⓨⓐⓝⓖ 2021. 5. 13.
반응형

 학습은 연습이나 경험의 결과로 발생하는 비교적 영속적이고 후천적 변화이다. 생득적 반응에 의한 변화, 성숙에 의한 변화, 일시적인 변화는 학습이 될 수 없다. 발달은 선천적 유전과 후천적 환경이 함께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변화이고, 학습은 후천적 환경에 의해 이루어지는 변화만을 강조한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설 개념

  • 학습은 자극과 반응행동 사이에 이루어지는 조건형성의 과정이다.
  • 학습은 조건자극에 대한 기계적이고 단순한 조건반응의 형성이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

  1. 무조건 자극(먹이)를 주었을 때, 무조건 반응(침)을 행동했다. 조건 자극(종소리)에는 무조건 반응이 없었다.
  2. 무조건 자극(먹이)와 조건 자극(종소리)를 함께 주었을 때, 무조건 반응(침) 행동을 하였다.
  3. 조건 자극(종소리)를 하였을 때 조건 반응(침)을 행동하였다.

 

학습원리

  • 시간의 원리 : 조건자극은 무조건 자극보다 시간적으로 앞서서 또는 최소한 동시에 제시도어야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강도의 원리 : 무조건 자극이 조건자극보다 강한 자극을 주어야 바람직한 반응을 일으키는 데 효과적이다.
  • 일관성의 원리 : 조건자극에 일관된 자극을 사용하여야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계속성의 원리 : 자극과 반응의 결합관계가 반복되는 횟수가 많을수록 조건화가 잘 성립된다.

 

조건반사 과정의 현상

  • 소거 : 조건화가 이루어진 후 강화를 하지 않고 조건자극만 제시하면 조건반응이 점차 약화되어 소실된다.
  • 자발적 회복 : 소거 후에 휴식시간을 두었다가 조건자극을 제시하면 어느 정도 조건 반응이 재현된다.
  • 재조건형성 : 자발적 회복이 생긴 후 계속해서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을 같이 제시하면 조건반응은 원래의 강도를 되찾는다.
  • 자극 일반화 : 비슷한 다른 조건자극에 대하여 조건반응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 식별, 변별 : 자극이 다를 때 조건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다.
  • 고차조건화 : 한번 조건반사가 성립되고 나면 그때의 조건자극을 무조건자극으로 하여 새로운 조건반사를 형성하는 것이다.

 

교육적 시사점

교사의 미소와 포옹, 이름호칭과 같은 행동과 교실 환경 또는 분위기는 무조건 자극과 관련되어 즐거운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으니 적절히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의 상대적 가치 이론  (0) 2021.05.13
스키너의 강화이론(작동적 조건화)  (0) 2021.05.13
정의적 발달  (0) 2021.05.13
자기결정이론&자기가치이론  (0) 2021.05.13
귀인이론  (0) 2021.05.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