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심리학

스키너의 강화이론(작동적 조건화)

by ⓨⓐⓝⓖ 2021. 5. 13.
반응형

 작동적 조건화설은 강화를 통한 행동 변화를 학습이라고 한다. 유기체의 능동적 반응이 간접적으로 자극의 역할을 함으로써 강화되고 행동변화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다. 강화는 행동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다주는 절차이다.

 

종류

  • 정적강화 : 유기체가 원하는 정적 강화물을 사용하여 행동을 증가시키는 절차이다.
  • 부적강화 : 유기체가 싫어하는 부적 강화물을 제거하여 행동을 증가시키는 절차이다.

 

강화물

  • 정적 강화물 : 유기체가 원하는 것이다. 음식이나 물과 같이 자연적 혹은 선천적 강화물을 1차적 강화물이라 한다. 1차 강화물들과의 연합에 의존하는 상표와 같은 것을 2차적 강화물이라고 한다.
  • 부적 강화물 : 유기체가 회피하려하는 것으로 안전밸트 경고음, 아이 울음소리, 차의 먼지 등 싫어하는 것이다.

 

처벌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이다. 수여성 처벌(정적 처벌)은 불유쾌한 자극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고 제거성 처벌(부적 처벌)은 쾌감을 제거하는 것이다.

 

강화계획

계속적 강화 계획은 매 반응 후 강화를 제공하는 것이고 간헐적 강화계획으 강화를 간헐적으로 제공한다.

  • 고정간격(규칙적 시간)-변동간격(불규칙적 시간)
  • 고정비율(규칙적 회수)-변동비율(불규칙적 회수)

 

시사점

 학습 초기는 계속적 강화를 사용하고 후기로 갈수록 간헐적 강화를 사용한다. 계속적 강화<고정 간격, 고정비율<변동 간격, 변동 비율 순으로 효과적이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모형  (0) 2021.05.13
행동의 상대적 가치 이론  (0) 2021.05.13
파블로프의 개 실험 (고전적 조건화)  (0) 2021.05.13
정의적 발달  (0) 2021.05.13
자기결정이론&자기가치이론  (0) 2021.05.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