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리맥 원리
출현비도(선호도)가 높은 행동을 출현빈도(선호도)가 낮은 행도의 강화로 사용한다. 숙제 이후에 놀이활동을 연결하여 강화로 사용한다.
행동의 증가
- 연쇄(Chaining) : 한 번에 학습하기 힘든 복잡한 반응을 형성하기 위해 단순한 행동들을 순서적으로 연결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 조형(Shaping) : 목표행동을 작게 세분화된 하위행동으로 구분하고, 낮은 단계의 행동을 할 때 강화를 제공하여 목표행동을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 토큰강화 프로그램(상표제도) : 긍정적인 반응마다 토큰(Token)을 제공하고, 일정한 개수가 모이면 강화물을 제공한다.
- 유관계약(Contingency) 프로그램 : 사전에 어떤 반응을 보이면 어떤 강화물을 제공하겠다고 약속을 맺는 것이다. 스타벅스 프리퀀시 프로그램이 예시다.
- 용암법(Fading) : 학습자가 혼자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점차 줄여가는 기법이다.
행동의 감소
- 포만(부적연습) : 부적합 행동을 반복시켜 물리게 하는 기법이다.
- 반응대가(Response Cost)는 어떤 규칙을 위반했을 때 강화인자(돈, 시간, 특권 등)를 잃게 하는 기법이다.
- 사회적 고립 :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강화로부터의 중간휴식이라 불린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밴두라의 사회학습이론(대리학습, 모델학습, 사회적 학습) (0) | 2021.05.13 |
---|---|
정보처리모형 (0) | 2021.05.13 |
스키너의 강화이론(작동적 조건화) (0) | 2021.05.13 |
파블로프의 개 실험 (고전적 조건화) (0) | 2021.05.13 |
정의적 발달 (0) | 2021.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