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파악 능력
아동들은 개별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말의 의미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즉 아동은 상대방의 억양, 몸짓, 표정, 행동 및 주변 상황을 이용하여 잘 모르는 단어나 구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문장을 분석하는 식으로 의미를 이해시킬 것이 아니라 맥락(context)을 충분히 제공하여 아동이 스스로 의미를 추측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새로운 표현을 실물, 그림, 제스처, 표정과 같은 시각적 단서와 함께 제시하면 언어만 제시할 때보다 훨씬 풍부한 맥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이 제공될 때 아동은 교사의 언어적 설명이 없어도 새로운 표현의 의미를 잘 이해할 수 있다.
창의적 언어 사용 능력
아동은 이미 익힌 제한된 단어와 구문을 가지고 자신의 의사를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의적 언어 사용은 언어발달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무조건 부정적인 것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아동이 직관을 사용하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직관적, 창의적 언어 사용은 사용될 언어 표현이 예측되지 않는 활동에서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간접 학습 능력
아동들은 직접적이고 의식적인 학습 상황보다 간접적이고 무의식적인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배우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공부한다는 인식 없이 언어를 즐기는 와중에 본인도 모르게 간접적이고 무의식적으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게임이나 놀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놀이와 재미를 추구하는 충동
아동들은 본능적으로 놀이를 좋아한다. 아동은 재미있는 놀이에 쉽게 빠져들고 그것에 몰두와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놀이는 재미르 통해 심리적 만족만 주는 것이 아니다. 놀이 속에 내재된 규칙은 아동의 규칙 학습과 지적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가 재미와 흥미를 느끼는 형태로 학습 내용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풍부한 상상력
아동은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다. 아동의 언어에는 상상과 판타지의 이야기들이 많이 들어 있다. 상상력은 인류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이 지속적으로 상상력을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영어수업에서는 아동의 상상력을 활용한 언어 활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상상력을 발휘하여 괴물을 그려보게 한 후 이를 묘사하게 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야기를 끝까지 들려주지 않고 이후 이야기를 아이들이 상상하여 만들어보게 할 수 있다.
움직이고 말하고자 하는 충동
아동은 또래와 같이 활동하고 함께 말하기를 본능적으로 좋아한다. 아동은 끊임없이 말하고 움직인다. 이처럼 움직임은 아동의 본능적인 특성이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보다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학습의 원동력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몸을 움직이는 활동이나 몸으로 표현하게 하는 활동, 또는 주변의 물건을 조작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고 흥미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말하지 않고 말하기를 잘할 수는 없기 때문에, 교사는 아동들에게 초기부터 말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영어를 잘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계발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교육 > 영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전략 (0) | 2023.03.25 |
---|---|
학습자의 여러 학습 유형 Learning Styles (0) | 2023.03.25 |
총체적 교수법 Whole Language Approach: WLA (0) | 2023.03.25 |
영어 학습자의 성취도를 좌우하는 정의적 요인 (0) | 2023.03.25 |
영어 듣기의 이해 과정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