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달 중에 있는 학습자의 영어는 필연적으로 오류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오류를 무조건 척결해야 할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언어 습득의 과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모든 오류를 수정하기보다는 오류의 원인과 종류 그리고 교실 활동 목적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오류수정이 동기를 떨어뜨리거나 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종합하자면 교사는 개별 학생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가장 필요한 순간에 가장 적절한 처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류의 원인
interlingual transfer | 모국어의 간섭현상으로 발생하는 오류이다. 즉 모국어 규칙을 부적절하게 제2언어에 적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인 것이다. |
intralingual transfer | 어떤 목표어 규칙을 그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상황에 적용하는 과잉 일반화overgeneralization로 인해 발생하는 오류이다. |
communication strategies |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사소통 전략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이다. |
오류의 유형
global error | 의사소통을 방해하거나 청자가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을 막아 의사소통의 단절communication breakdown을 가져오는 오류이다. |
local error |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방해되지 않는 사소한 오류이다. |
오류의 수정
오류 수정의 기준은 학습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학습 목표가 유창성fluency에 있는 경우 의사소통의 단절을 가져오는 포괄적 오류global error를 주로 수정한다. 그러나 학습 목표가 정확성accuracy에 있다면 학습자의 반복적 오류가 화석화fossilization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부분적 오류local error도 수정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의사소통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 교사의 즉각적 오류 수정을 피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오류 처리 유형categories of error treatment
explicit correction | 학습자에게 형태 오류를 명확하게 지적하고 교정된 형태를 제공한다. |
recast | 교사가 학생의 말에서 문법적으로 틀린 부분을 올바르게 수정해서 제시하고, 다음 대화로 자연스럽게 넘어간다. |
metalinguistic feedback | 문법용어를 사용해 올바른 언어표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생이 오류를 수정하게 한다. |
repetition | 학습자 발화의 오류를 교사가 반복한다. |
clarification request | 교사가 학생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했거나 학생의 말이 문법적으로 잘못되었을 때 재진술이나 명료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
elicitation | 교사가 학습자로부터 올바른 형태를 직접 끌어내는 방법이다. 교사가 학습자 발화의 일부만을 따라하거나, 질문하거나, 학생에게 재발화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
반응형
'교육 > 영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 영어 발음 지도 (0) | 2023.03.25 |
---|---|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0) | 2023.03.25 |
초등학생을 위한 영어 말하기 학습 지도 (0) | 2023.03.25 |
영어의 읽기 지도 (0) | 2023.03.25 |
학습자의 영어 학습 전략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