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의 이해 과정
상향식 접근(bottom-up approach)에 의하면 읽기는 문자를 상응하는 음성으로 해독(decoding)하는 과정이다. 글 속의 가장 작은 단위인 음소(phoneme)부터 시작하여 형태소(morpheme), 어휘, 문장 순서로 파악해가는 과정인 것이다. 따라서 상향식 옹호자들은 철자와 소리의 상응 관계를 지도하고 어떻게 이 소리가 합쳐져 단어를 이루는지를 가르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기반을 둔 읽기 지도 방식이 음철법(phonics)이다.
하향식 정보 처리는 배경지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글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글의 제목이나 주제가 주어지면 독자는 본인의 경험이나 지식을 토대로 앞으로 어떤 내용이 전개될지 예측한다. 독자는 그러한 예측을 바탕으로 텍스트와 상호작용하며 의미를 만들어간다. 이러한 하향식 정보 처리를 자극하기 위해서는 단어 인식이 아니라 학습자가 의미를 만들어내는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
상호작용식 정보 처리는 상향식의 유용한 정보 인식 방식과 하향식의 정보 추론 방식이 결합된 것으로, 텍스트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효율적인 단어 인식과 적절한 배경지식의 사용이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학습자로 하여금 상향식과 하향식을 모두 사용하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읽기의 단계
문자 그대로의 이해(literal comprehension)은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사실적 정보(factual information)를 찾아 이해하는 수준이다. 명백하게 쓰여있는 사실fact, 순서sequence, 주제main idea 따위를 알아내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해석적 이해interpretive/inferential comprehension는 명시적으로 나와 있지 않은 행간의 의미를 읽는 것이다.reading between the lines. 결과를 예상하고predicting outcomes,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은 원인과 결과 관계를 파악하고 reasoning cause-and-effect when these are not stated, 일반화 하고generalizing, 직유,은유 같은 문학 장치figurative language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비판적 이해critical comprehension는 맹목적으로 읽지 않고 글을 다각도롤 평가하고 판단judge하고 타당성validity을 따지며 읽는 수준을 말한다. 읽은 내용의 정확성과 신뢰성, 가치, 수준을 판단judgment하고 편견bias이나 과장overstatement을 감지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창의적 이해creative comprehension는 글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읽은 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수준을 의미한다. 글에 대해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읽은 정보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읽기 전략
scanning | scanning은 텍스트에 나와 있는 세부 정보를 찾아내기 위해 텍스트를 읽는 전략이다. 텍스트에서 고유명사, 날짜, 숫자, 시간과 같은 단어를 찾는 것이다. |
skimming | skimming은 전반적 내용을 알아내기 위해 텍스트 전체를 재빨리 읽는 전략이다. 이때, 독자들은 요점, 중심 내용, 전체적인 주제를 찾아낸다. |
guessing/inferencing | 배경지식이나 텍스트에 나와 있는 단서를 통해서 단어의 의미를 추측하거나 문장 사이에 함축된 의미를 추론하는 전략이다. |
semantic mapping | 지문 속 여러 가지 사건이나 생각을 관련된 것끼리 묶어 의미론 적 지도를 그려보는 전략이다. |
과정 중심 읽기 지도
읽기 지도는 크게 읽기 전, 중, 후 활동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교사는 단계에 맞게 적절한 지도를 해야한다. 읽기 전 단계에서는 읽기의 목적을 분명하 하고,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며, 흥미를 유발하고, 필요한 어휘를 제시한다. 읽기 중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skimming, scanning 같은 전략을 사용하여 읽도록 유도하며,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적극적 읽기를 도울 수 있는 과업을 사용한다. 읽은 후 활동에서는 읽은 내용에 대한 이해를 확인하고, 상향식 읽기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텍스트 정보를 조직화하고 확장하며, 다른 언어 기능과의 통합(integration)을 유도한다.
읽기의 유형
정독 intensive reading |
정독은 일반적으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읽기 활동이다. 문법이나 담화 표지어처럼 언어 자체에 대한 것이나 문자적 의미, 함의, 수사적 관계처럼 텍스트의 세부적인 의미를 파악하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텍스트 내용의 어려움과 관련해 사용되는 읽기 전략도 포함한다. |
다독 extensive reading |
일반적으로 교실 밖에서 행해지는 읽기로 글의 전반적 내용 파악과 즐거움을 위해 읽는 활동이다. 다독을 장려하기 위해 다독을 위한 책을 학습자가 스스로 고르게 하고 교실 내 도서관을 설치할 수 있다. 다독의 목적은 학습자가 읽기에 대한 흥미를 배양하여, 읽기 위해 배우는 것이 아니라 배우기 위해 읽도록 하는 데에 있다. |
소리 내어 읽기 reading aloud |
소리 내어 읽기는 발음과 억양 및 리듬을 익히면서 소리와 문자를 연결 짓는 훈련과정이다. 한 아동씩 돌아가면서 소리 내어 읽기 함으로써 교사는 개별 학생이 문자를 읽는 수준을 파악할 수 있고 ,읽은 내용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이해도를 측정할 수 있다. |
묵독 silent reading |
묵독은 발음에 대한 부담 없이 내용 이해에 집중하게 하기 때문에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길러줄 수 있다. 읽을거리는 이전에 들어 알고 있는 이야기나 아동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내용이 효과적이다. |
'교육 > 영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 영어 말하기 오류 지도 (0) | 2023.03.25 |
---|---|
초등학생을 위한 영어 말하기 학습 지도 (0) | 2023.03.25 |
학습자의 영어 학습 전략 (0) | 2023.03.25 |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전략 (0) | 2023.03.25 |
학습자의 여러 학습 유형 Learning Styles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