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것과 정확하게 말하는 것은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유창성과 정확성을 균형있게 키워야 한다. 유창성을 키우기 위해 학습자가 의미를 이해하면서 말하는 형태의 과제를 반복하게 할 수 있다. 정확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학생을 발화 오류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말하기 연습 활동
Machanical drill은 학습자의 답은 완전히 통제되어 옳은 답은 하나밖에 없다. 학습자는 의미를 이해하지 않고도 정확하게 답할 수 있다. Meaningful drill은 이해가 반드시 요구되는 연습으로, 학습자는 2가지 이상의 형태로 답할 수 있다. 그러나 답변 내용에 대해 여전히 통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교사는 학습자가 말할 내용이 무엇인지 이미 알고 있다. communicative drill은 통제가 줄어드나 목표 구문을 연습한다는 점에서 통제가 남아 있다. 그러나, 교사에 의해 답변 내용이 정해져 있는 유의적 연습과 달리, 학습자는 본인이 말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여 말할 수 있다.
PPP 수업모형
PPP 수업모형은 제시-연습-발화 Presentation-Practice-Production의 3단계로 구성되며 수업의 초점은 정확성accuracy에서 시작해 유창성fluency으로 옮겨진다. PPP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으로 전이되지 못한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l Method 형태의 연습에 대한 보완으로 받아들여진다. PPP는 초보 학습자에게 효과적이며, PPP에서 제시되는 언어는 크게 문법, 어휘, 기능으로 구분된다.
제시단계는 새롭게 배울 표현과 구문을 문맥이나 상황 속에서 제시해주는 것이다. 같은 언어표현도 문맥과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표현과 구문을 제시할 때 그 표현만 따로 떼어 제시할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이나 맥락과 함께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화문dialogues이나 지문passages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초등영어교육은 음성언어교육에 더 많은 비중을 두기 때문에 대화문으로 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대화문은 새로운 표현, 구문을 문맥화contextualization하기가 쉽고 학습자가 연습하기에도 적절하다.
연습 단계는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연습 단계는 교사의 통제 정도에 따라 통제 연습controlled practice과 유도 연습guided practice으로 나뉜다. 통제 연습과 유도 연습의 구분은 통제 정도에 따른 상대적인 것일 뿐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발화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연습한 언어 항목을 의사소통 과정에서 실제로 사용해 보는 단계이다. 따라서 발화 활동에서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이어야지, 언어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 활동 속에서 학생들은 목표 구문 외의 다양한 언어 형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볼 기회를 갖게 된다. 즉, 교사는 학습자의 발화에 어떤 통제도 하지 않으며 학습자는 말하고 싶은 바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중간언어interlanguage
중간언어interlanguage란 학습자가 구사하는 목표 언어로, 이는 모국어밖에 할 줄 모르던 학습자가 목표어를 습득해가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중간언어는 모국어도 아니고 목표 언어도 아닌, 그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다.
중간언어는 체계 전 단계, 출현 단계, 체계적 단계, 안정화 단계의 순으로 발전한다. 체계 전 단계에서는 무작위 오류random errors가 나타나는 단계로 목표어 체계를 파악하지 못하고 실수를 많이 하는 시기이다. 출현단계는 학습자가 발화를 일관성 있게 발전시켜 내면화하기 시작하는 단계로, 오류를 지적해도 수정하지 못한다. 체계적 단계는 일관성 있게 목표어의 규칙을 내면화하며 오류를 지적하면 수정할 수 있다. 안정화 단계는 오류가 거의 없이 유창하게 발화하며 오류 발생 시에는 스스로 수정self-correction할 수 있다. 그러나 화석화fossilization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교육 > 영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 (0) | 2023.03.25 |
---|---|
초등학생 영어 말하기 오류 지도 (0) | 2023.03.25 |
영어의 읽기 지도 (0) | 2023.03.25 |
학습자의 영어 학습 전략 (0) | 2023.03.25 |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 전략 (0) | 2023.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