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는 탐구할 문제와 관련된 자료를 찾고 탐색하는 것이다. 조사는 관련된 장소나 현장에서 직접적인 관찰과 경험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책이나 문헌, 인터넷을 활용한 간접적인 경험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조사의 목적에 따라 문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현상을 관찰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고, 변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조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과학 원리가 적용된 실생활의 예를 조사하거나, 생활 속의 쓰레기의 양을 조사하는 등의 활동은 관찰이나 측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조사 활동이다. 이러한 조사 활동은 견학 및 탐방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인과 관계를 밝히려는 조사는 실험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실험으로 조사를 수행할 때에는 탐구 문제를 명확하게 규명하여 실험 계획을 수립하고, 예상, 가설 설정, 실험 설계를 기초로 실험을 수행하고, 실험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탐구 문제의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대부분의 조사는 개인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모둠 활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적절한 역할 분담과 의사소통이 요구된다.
실험이나 관찰 학습이 이루어지기 힘든 경우나 기본 자료 수집이 필요한 경우에는 문헌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문헌 조사는 책이나 관련 서적, 신문, 잡지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으로도 조사할 수 있다. 이렇나 조사의 경우 자료의 출처를 명확하게 밝히고 타인의 자료를 표절하지 않는 윤리 의식을 염두에 두고 수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 중심 학습 Problem-Based Learning: PBL 알아보기 (0) | 2023.03.27 |
---|---|
과학 협동 학습 알아보기 (0) | 2023.03.27 |
과학 실험 수업 알아보기 (0) | 2023.03.27 |
과학 학습 모형 중 과학-기술-사회 STS 학습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27 |
과학 오개념이 발생하는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