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과학 협동 학습 알아보기

by ⓨⓐⓝⓖ 2023. 3. 27.
반응형

 구성주의에서 지식은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기초하여 구성되는 인지적 결과라고 본다. 그리고 지식은 개인의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계속적으로 구성과 재구성을 반복해 나간다. 협동 학습은 이러한 학생들 사이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수업 방법이다.

 학습 형태 면에서 협동 학습은 소집단 단위의 학습이 기본이므로 분단별 소집단 학습이나 수준별 학습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다. 학습 내용 측면에서도 탐구 학습이나 개념 학습 등 다양한 학습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흔히 소집단 단위로 진행되는 학습이 곧 협동 학습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협동 학습은 다음에 기술하는 것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협동 학습의 중요한 요소에는 모둠원 간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 장려적인 대면적 상호 작용, 개별적 책무성, 사회적 기술 등이 있다.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사람을 성공으로 이끌 수도 있고 성공을 방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사람의 성공이나 실패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개인의 활동은 이와 같이 다른 사람들의 행동과 세 가지 방식의 관계, 즉 협동성, 경쟁적, 또는 개별적 관계를 맺는다. 이를 사회적 상호의존성이라고 한다. 이 중에서 개인의 목표 사이에 서로 긍정적 상호 의존성이 있을 때 협동 학습이 일어나며, 이는 협동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긍정적 상호 의존성은 구성원들이 자신의 일을 서로 연결하여 함께 활동하지 않으면 집단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우며, 과제를 완수하려면 자신과 다른 사람이 함께 노력해야만 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장려적인 대면적 상호 작용이란 집단의 구성원들이 학습 과제를 완수하고자 서로 격려하고 학습을 장려하면서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개별적 책무성은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려고 다른 구성원들에 대하여 책임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는 활동 중에 자신이 맡은 부분을 분담하여 완수하거나, 다른 구성원들의 일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도우려고 노력하며, 자신이 할 수 있는 한 많은 일을 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기술이란 구성원 간의 관계에서 알아야 할 기술, 그리고 소집단 내에서 갖추어야 할 기술을 말한다.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분류하고 단순히 협동하라고만 말한다면 그 소집단 학습이 성공을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다. 학생들이 실질적인 협동 학습을 하도록 하려면 서로 협동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고 이를 사용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