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창의적 사고 촉진 기법을 알아보자

by ⓨⓐⓝⓖ 2023. 3. 27.
반응형

 과학에서의 창의성은 관찰로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 관찰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가설을 발전시키는 과정, 현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석하는 과정과 새로운 기술을 발명하는 과정 등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창의적 사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발산적 사고는 과학 활동에서 독창적이며 다양한 생각을 해내는 능력을 말한다. 유창성은 특정한 문제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이다. 융통성은 고정적인 사고방식이나 시각 자체를 변환하여 다양한 해결책을 찾는 능력이다. 독창성은 기존의 것에서 탈피하여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이다. 정교성은 다음어지지 않은 기존의 아이디어를 좀 더 치밀한 것으로 발전시키는 능력이다.

 

 수렴적 사고에 대해선 과학활동에서는 산발적인 자료를 수렴하고 통합해 하나의 전체적인 형태나 구조로 만들어 내는 활동도 중요하다. 정합성은 개념이나 지식 등 구성물들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며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모순이 없음을 의미한다. 통합성은 이론 구조를 이루는 구성물들의 전체나 일부를 서로 연결해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순성은 하나의 커다란 구조로 묶이면서도 그 구조에 질서가 내재되어 있어 복잡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연관적 사고에는 비유, 은유, 귀추가 있는데 처음에는 별개로 보이던 두 개의 사건을 서로 연관하여 기존의 사건에서 알려진 법칙과 설명, 특징을 새로운 사건에 도입하는 것을 말한다.

 

 어떤 것을 새롭게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는 과학 수업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창의적 사고에는 보통 두 가지 활동이 수반된다. 첫 번째 활동은 독창성과 관련된 활동으로서 아이디어, 계획, 답을 발견하는 과정이고, 여기에는 발산적 사고가 수반된다. 두 번째 활동은 결과를 산출하거나 세부 사항을 완성하며 아이디어나 답이 유효하거나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이고, 여기에는 수렴적 사고가 수반되며 이 과정에서 과학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가 많이 요구된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 촉진 기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학생의 특성과 수업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