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STEAM 융합인재교육의 도입 배경을 알아보자

by ⓨⓐⓝⓖ 2023. 3. 28.
반응형

 학교 교육의 질은 미래의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세계 여러 나라느 자국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 사회의 기술 혁신은 하나의 학문에 의하기보다는 서로 다른 영역의 학문 간의 융합으로 새로운 기술 혁신이 사회의 전반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본다. 즉, 융합 기술은 우리 미래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새로운 시대적 요구는 세계적 흐름이다. 미국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과 같은 영역에서의 인력 부족으로 미래의 국가 경쟁력이 약해질 것이라고 우려하여 정부에서 더욱 많은 인재를 양성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함으로써 융합 기술이 발전하였다. 또한 미국 학생들은 국제적인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서 40여 개 참여국 중 수학 28위, 과학 24위와 같이 성취 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의 직업에서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의 인력의 비율이 2020년까지 14%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였다. 생명 공학 분야의 일자리느 62%, 의학과학자는 36%, 시스템 소프트 웨어 개발자는 32%, 컴퓨터 시스템 분석가는 22%, 수학자는 16%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해결하려고 미국 행정부는 2007년 미국 경쟁력 강화 법안에서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의 중요성과 관련 분야의 투자와 교사 양성을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다. 미국은 2013년 STEM의 교육 예산으로 31억 달러를 편성하였으며, 그 후 지속적으로 예산을 증편하면서 우수한 STEM 교사를 10만 명 양성하고자 노력하였다.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이후 PISA는 학교 교육의 질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다. PISA에 참여하여 얻은 결과로 교육의 현주소를 비교할 수 있다.

 PISA는 OECD에서 주관하는 학업 성취도를 국제적으로 비교한 연구로, 만 15세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읽기, 수학,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고 이들 소양과 관련된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의 교육 정책을 수립하는 데 사용된다. 읽기, 수학, 과학에서의 소양은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학습 내용을 습득하기보다는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여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고 사회에 시민으로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PISA는 1998년에 시작하여 3년을 주기로 평가가 이루어지며, 2006년과 2015년에는 과학이 주 영역으로 설정되었다.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이하 TIMSS는 수학 과학 성취도를 국제적인 수준에서 비교하고 그 변화를 파악하여 연구 참여국들의 교수학습의 실제와 교육 정책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의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참여하며, 우리나라는 2차인 1995년부터 참가하였다. TIMSS는 교육과정에 기초한 국제 비교 평가이다. PISA, TIMSS와 같은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우리나라가 인지적 영역에서 성취도 수준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지적 영역에서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에 있는 국가들에 비해 최상위 수준에 속하는 학생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 부분은 우리나라와 같은수준에 있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즉,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과에 대한 자신감, 흥미 등의 긍정적인 자아 개념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것이다. 정의적 영역은 흥미, 태도, 가치와 관련된 개인적인 특징으로 인지적 영역과 관련이 깊다.

 평가 결과에서 수학과 과학의 정의적 영역인 흥미와 호기심 영역에서 순위가 낮은 것은 미래의 국가 경쟁력 확보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작된 정책이 바로 융합인재교육 STEAM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