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학교육론

STEAM 융합인재교육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by ⓨⓐⓝⓖ 2023. 3. 28.
반응형

 융합인재교육 STEAM은 과학 기술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과학 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 해결력을 배양하는 교육이다.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 기술 분야로 진출하도록 새로운 교육 정책을 제안한 것이다. 과학과 수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용하여 뼈대를 만들고 공학과 기술로 실생활과 연계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융합인재교육에서는 과학과 수학이 중심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수업 내용에도 과학 기술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STEAM은 과학 기술 기반 교육이다. 미국 및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우수 인재를 확보하고자 STEM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STEM교육은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등 네 개의 분야 각각에 중점을 둔다. 최근에는 STEM에 인문 사회 예술 요소를 덧붙여 STEAM적 소양을 함양하고자 한다.

 STEAM 수업은 흥미를 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과학 기술의 원리를 이해하고 과학과 수학 교과의 성취 기준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EAM은 실생활 문제 해결력을 추구한다. STEAM은 학생들이 매일 접하는 실제 현실 세계에서 해결책을 찾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물론 교과서의 내용 중에도 실생활과 연계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교과서는 학습 내용을 실생활과 연계하여 설명하는 반면, STEAM은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학습 내용을 이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안을 설계하는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교과서에 담긴 지식을 외워서 한정된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는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지식을 왜 배워야 하는지, 어디에 사용할 수 있는지까지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학습의 의미와 목적을 깨닫게 되면 해결 방안을 스스로 설계해서 직접 탐구하고 실험하는 과정으로 실생활에서의 문제 해결력을 높일 수 있다. STEAM은 이렇게 실생활과 연계해 과학, 수학 이해도를 높이려고 기술과 공학 요소까지 포함한다.

 STEAM은 실생활 문제에 중점을 둔 자연스러운 융합을 지향한다. 특정 교과나 주제 또는 고정된 개념에서 시작하지 않고 실생활에서 마주할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맥락을 구성해야 한다. 실생활 문제는 어느 한 과목의 지식만으로는 풀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할 때 여러 교과의 지식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STEAM 수업이라 부르려면 5가지 요소 중에서 두 개 이상의 교과나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는 기준도 이 때문이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각도에서 고민하고 탐구하는 교육은 당연히 여러 종류의 요소를 동원할 수밖에 없으며, 이때 자연스럽게 융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