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STEAM 수업의 유형에는 세 가지가 있다. 교과 내 수업형, 교과 연계형, 창의적 체험 활동 및 방과 후 수업 적용형 등이다.
교과 내 수업형은 STEAM 수업 형태를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수업에 몇 가지의 STEAM 요소를 추가하고 학습 준거특에 따라 재구성하면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STEAM 수업 진행 방식의 한 예는 다음과 같다. 수업 도입부에서는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 상황을 제시해서 해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기존에 실시하던 동기 유발 방법과는 다르게 제시된 상황과 문제를 해겨해 가는 과정으로 수업 전체의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교과 내용을 학습하는 과정에서는 창의적 설계를 도입하여 감성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 준거틀은 수업의 특징에 따라 자유롭게 순서를 변형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수업은 진행하기가 수월하고 수업 시간을 확보하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교과 연계형과는 달리 타 교과의 내용을 깊이 다루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던 타 교과의 지식을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창의적 설계 과정과 전체 수업을 구성하는 것이 좋다.
기존 수업 방식과 유사하게 진행하기만 해도 STEAM 수업을 할 수 있다.
교과 연계형은 하나의 큰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관련 교과를 연계하는 수업으로 주제에 대한 융합적 이해가 수월하고 프로젝트, 팀 티칭, 코 티칭 등 다양한 형태의 숭버도 가능하다. 교과 연계형 수업 중 대표적인 세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블록 타임제를 활용하여 여러 교과를 연계해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블록 타임제는 단일 교과의 학습 효율을 높이려고 동일한 교과에 속하는 수업을 연달아 배치하는 방식이며, 이를 STEAM 수업에 응용한다면 동일한 주제하에 관련 교과나 요소를 연속적으로 배치해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STEAM DAY를 운영하는 것이다. 기존 교과의 내용 순서에 따라 진도를 재구성하고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수업을 특정한 날짜에 모두 배치하는 방식이다. 많은 차시를 요구하는 주제도 소화할 수 있고 해당 주제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이다.
세 번째 방법은 교과 연계 운영으로 여러 교과를 연계하여 진행하는 것이다. STEAM 교과 수업이 시간표상에서 여러 날짜와 시간으로 분리되어 있다면 이를 그대로 두고 수업 내용을 연결하여 진행하는 방식이다.
창의적 체험 활동 및 방과 후 수업 적용형의 경우는 학생들이 주 2~3회씩 참여하는 것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정규 수업이 끝난 후에 실시하는 방과 후 프로그램에 교육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STEAM 주제를 적용한다면, 광고 만들기나 로켓 만들기 등과 같은 하나의 주제를 한 학기 동안 심도 있게 진행하여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다.
'교육 >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학습 평가의 영역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8 |
---|---|
과학 학습의 평가의 목적과 절차 알아보기 (0) | 2023.03.28 |
STEAM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학습 준거틀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STEAM 융합인재교육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8 |
STEAM 융합인재교육의 도입 배경을 알아보자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