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도덕과 평가의 의미와 바람직한 평가관을 알아보자

by ⓨⓐⓝⓖ 2023. 3. 31.
반응형

 도덕과 평가의 의미에 대해서는 이를 협의로 보는 경해와 광의로 보는 견해로 나눌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도덕과 평가를 단순히 도덕과 학업 성취를 측정하는 일에 그치는 것으로 보려고 하는 데 비해, 후자는 그것을 넘어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및 교사 모두의 변화와 발전 및 수업의 질 개선을 도무하는 것까지 고려하고자 한다. 그런데 도덕과 평가를 단순히 수업 목표 도달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협소하게 보는 견해는 그것을 통해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을 온전하게 나타내 주는 데 한계를 지님을 물론, 그 자체로도 도덕과 평가의 본질과 목적에 걸맞지 않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보다 도덕과 평가는 학생들의 도덕과 교육 결과는 물론 그들 생활 속에서의 도덕 학습 결과로 이루어진 현재의 도덕 발달 정도를 측정하여 그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더 나은 도덕적 성장과 변화를 도모하는 한편, 교사로서는 도덕과 학습 지도의 목표, 내용, 방법, 과정, 갖료 등 여러 요인을 되돌아 보고 이를 개선해 가는 과정과 활동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이러한 태도에서 울는 도덕과 평가를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과 교사의 도덕과 교수 학습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 이용하여 의사 결정을 내리는 과정과 활동이라고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덕과 평가의 본질과 목적에 관해서도 두 가지 입장이 있을 수 있다. 판정, 분류로서의 평가관과 성장, 개선으로서의 평가관이 그것이다. 전자는 우리 주변에 흔히 일어나는 일로서, 학생들을 학습 성공군과 실패군으로 분류하여 판정하는 일을 주된 과업으로 보는 견해다. 이에 비해 후자는 학생의 지속적인 도덕성의 변화와 발전 그리고 이를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의 개선을 도덕과 평가의 본질과 목적으로 보는 견해이다. 몰론 평가에서 전자의 평가관에 근거해야 할 경우도 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도덕과 평가는 판정과 분류를 궁극적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학생들의 도덕적 성장과 변화 그리고 이를 위한 교사의 도덕과 교육상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 도덕과에서 수행 평가, 과정 중심 평가 등이 강조되는 연유가 여기에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