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 학습이란 학생들이 학습 대상인 실재에 대해 읽거나 말하거나 듣거나 쓰는 정도에 그치지 않고 그것과 직접 접하면서 체험을 통해 배우는 학습 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예컨대, 비판적 사고를 배운다면 비판적 사고를 실제로 해 보면서 배우는 경우, 어떤 사물의 모습이나 형태에 대한 앎을 형성하는 학습이라면 그 사물을 직접 보면서 이해하는 경우, 어떤 이론이나 법칙에 관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면 그 이론이나 법칙을 직접 적용하는 행동을 통해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지를 직접 보면서 배우는 경우 등이다.
도덕과 교육에서의 경험 학습 수업 모형은 학생들에게 적절한 도덕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도덕적 자각과 의식을 깊게 하고 사고와 판단 능력 및 행동 실천력을 높이려는 데 그 기본 관점이 있다. 이 모형은 원래 인지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수학과, 과학과, 사회과 등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것이지만 도덕 생활에 관한 인지적 변화는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도 영향을 끼치고 또 이들 사이에는 밀접한 연계성이 있기 때문에 도덕 수업의 한 모형으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이 모형은 인간은 그의 환경과의 상호 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하고 성장, 변화한다고 보는 피아제의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따라서 이 모형에 따를 때 교사는 학생들이 양질의 경험을 얻을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일과 그 경험을 적절히 해석하고 교류하여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일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교사는 교수 학습 과정에서 단순한 지식이나 정보를 획득하게 하기보다는 사회적 영역에서의 사고 과정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흥미와 경험을 토대로 학습 활동 계획을 수립하며, 학생들이 직접 조작해 볼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그들이 공동 작업 활동을 통해 학습을 수행해 나가도록 하는 일도 중요하다.
먼저 문제 사태를 제시하고 경험을 통해 학습할 문제를 설정한다. 이때 그 문제 사태는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 맞고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어야 한다. 학습할 문제는 문제 사태의 개요를 파악하면서 무엇을 알아볼 것인가를 설정함으로써 찾아볼 수 있다. 예컨대,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제시하고 개요를 파악하면서, 이들이 이러한 위대한 업적을 이루는 데 밑받침이 된 근면 성실하고 창의적이며 타인을 위한 봉사적인 생활 태도를 알아보자는 등의 학습 문제를 설정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창의적인 생활을 통해 자신과 이웃에 도움을 주는 자세와 관련한 경험 학습의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다. 예컨대, 자신과 이웃을 위한 우리 반 발명대회 같은 것을 열어보는 것이다. 이러한 계획 수립은 교사가 단독으로 할 수도 있고 학생들이 논의하여 결정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학생들이 협의하여 결정하도록 할 경우 교사는 그 계획이 해당 수업에서 다루고자 하는 도덕규범과 관련하여 양질의 경험을 할 수 있게 짜이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점을 두어야 할 경험, 경험한 내용을 정리하여 발표하는 방법에 관해서도 계획을 세우도록 한다.
다음에는 실질적인 경험 학습을 실시한다. 예컨대, 주제에 따른 관찰, 행동, 인터뷰, 실습, 실연 등의 활동을 통하여 궁금한 점에 대한 대답을 얻는 것이다. 또한 위의 예에 비춰 본다면 실제로 창의적으로 유용한 물건을 만들어 자신은 물론 이웃에게 도움을 주는 활동과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계획한 대로 경험 학습이 진행되고 있는지, 가르치고자 하는 근면, 성실, 인내 등의 도덕규범과 관련하여 아동들이 중요한 경험을 하고 있는 지 주의 깊게 살피면서 지도와 조언을 해 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경험해야 할 것을 제대로 경험하면서 이를 잘 기록하도록 하고 발표 자료를 준비하며 정리해 나가는 지도 살펴본다.
경험의 교류와 논의를 통해 경험을 공유하고 일반화하는 단계는 경험학습 수업 모형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경험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한편 다른 사람의 경험에 공감하거나 다른 사람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의 개별 경험이 정련, 심화되고 확대되는 도이에 의미 있는 경험의 일반화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경험의 교류와 논의가 반드시 가르치고자 하는 도덕규범과 관련지어서 전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위의 예와 같이 도덕적이고 차으이적인 삶의 자세와 관련된 경험 학습을 운영해 왔다면, 그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창의적인 생활의 의미와 중요성 등과 관련하여 사고하고 판단해 보는 일, 창의적 생활의 실천의욕을 굳게 하고 또 실제로 실천하는 일, 개인적으로는 근면 성실과 인내하는 삶의 자세를 기르는 일, 그리고 나를 넘어 타인과의 관련 속에서는 이웃에게 도움을 주고 봉사하는 생활 태도를 함양하는 일 등과 관련하여 경험과 논의가 교류되고 공유되도록 잘 이끄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종합 정리 및 평가하기 단계에서는 학습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고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한 평가를 해 본다. 물론 이때의 종합, 정리도 역시 그 수업에서 다루는 도덕 규범과 관련지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경험 학습이 충실히 이루어졌는지, 잘못된 점은 무엇인지, 앞으로 이러한 경험 학습을 한다면 무엇에 유념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논의를 하면서 학습 과정과 활동에 대한 반성을 함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경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다져 나가도록 한다.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
도덕 이야기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도덕과 평가의 의미와 바람직한 평가관을 알아보자 (0) | 2023.03.31 |
도덕과 평가 방법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31 |
도덕 교육의 도덕 사회화론 관점을 알아보자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