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수업 전에 교사는 그 계획과 준비과정에서 수업 목표를 확인하고, 어떤 도덕적 가치 규범에 관련되는 도덕 행동들을 어떤 방식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실습 실연할 것인가를 면밀하게 생각해 둔 토대 위에서 이 모형의 운영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습 실연을 위한 상황 또한, 실습 실연을 위한 상황 또는 여건, 자료 등을 사전에 준비해 두는 일이 중요하다. 이어서 수업의 첫 단계에서는 그 시간에 다루는 가치 규범과 관련하여 문제의식을 느끼고 학습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알도록 한다.
모범 행동의 제시 및 이해
그 시간에 익힐 도덕 행동을 제시하고 이의 실천 방식이나 행위 기능 등을 지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모범 행동과 반대되는 행동을 적시하고 바람직한 행동과 비교하면서 모범 행동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익혀야 할 도덕 행동을 제시할 때에는 말로 듣고 이해하는 것보다는 눈으로 보고 따라 배우는 것이 더 직접적이라는 점에서 될 수 있는 점에서 될 수 있는 대로 모범행동을 자세한 설명이나 그림, 사진, 시청각 매체 또는 실제 인물의 실연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범 행동의 실습 실연
실습 실연을 통해 익히기 단계에서는 지적으로 이해된 구체적인 행동 방식이나 행위 기능을 직접 실행하면서 몸에 익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실습 실연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진지한 태도를 지니고 열성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어 간다. 이때 실습 실연이란 실습으로 익히기와 실연을 통해 익히기의 두 가지를 내포하는데, 전자는 도덕적 행동을 직접적인 실습과 훈련을 통해 익히는 것을 말하며, 후자는 가상적 상황을 설정해 놓고 그러한 장면에서의 바람직한 행동을 실연을 통해 터득하는 것을 말한다.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자기를 반성하면서실천 의지를 다지는 등 도덕적 심정을 강화하도록 한다. 예컨대 실습 실연을 하면서 잘된 점과 잘못된 점을 짚으면서 논의한다. 또, 그 시간에 다룬 도덕 행동과 관련하여 평소 자신의 생활이 어떠했는지 등을 돌이켜 보고 앞으로 꾸준히 실천할 것을 다짐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때 자신이 꼭 실천하고자 하는 도덕 행동을 몇 가지로 설정해놓고 그 실천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면서 실천의지를 강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습 실연 과정에서 새롭게 느끼고 알게 된 점 드을 이야기하면서 경험의 교류와 일반화를 도모하는 가운데 모범 행동의 발전적 정착을 도모하는 일도 필요하다.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실습 실연에 의한 도덕 수업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정리, 평가하고 학급 및 학교 생활, 그리고 그 외의 일상생활로의 확대 적용을 도모하는 가운데 꾸준한 실천으로 발전하도록 노력한다.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 심화 중심의 수업 과정 절차 알아보기 (0) | 2023.04.01 |
---|---|
모범 감화 중심의 수업 과정 절차 알아보기 (0) | 2023.04.01 |
실천 체험 중심의 수업 과정 절차 알아보기 (0) | 2023.03.31 |
역할놀이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개념 분석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