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가치 심화 중심의 수업 과정 절차 알아보기

by ⓨⓐⓝⓖ 2023. 4. 1.
반응형

학습 문제 인식 및 동기 유발
  이 단계에서는 대체로 모범 강화 수업 과정 절차에서와 같이 다루고자 하는 가치 규범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문제의식을 느끼고 학습 동기를 일으키며 학습 문제를 인식하도록 한다.
 
가치 사례의 제시 및 성찰
 해당 가치 규범과 관련된  문제나 사례 또는 생각할 거리를 제시하고 문제의식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바람직한 삶에 대해 숙고해 보게 한다. 이때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여러 가지 적절한 방식으로 제시하면서 이에 대해 숙고해 보게 할 수도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제시된 가치 문제에 대해 평소에 어떤 가치 입장이나 관점을 지니고 있었는지, 이에 따라 자신의 생활은 어떠했는지 등을 되돌아보게 한다. 그리고 나아가 그러한 가치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은 무엇을 옳고 바람직하다고 보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생각하고 논의해 보면서 바람직한 삶의 자세에 대한 주체적인 자각이나 각성을 깊이 이루어 내도록 노력한다.
 
가치 규범의 추구 및 심화
 위와 같이 지적으로 정련된 가치 규범에 대해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감정적, 정서적 차원에서 이를 보다 깊숙히 받아들이고 사랑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좀 더 내면화의 심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읽기와 글쓰기 및 발표 활동을 통해 그 가치를 심정적으로 좋아하고 추구하려는 마음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나아가 아이들이 좋아하고 즐겨 부르는 교훈적 내용이 담긴 노래를 좋은 율동을 곁들여부르거나 어떤 노래를 다른 의미가 있는 가사로 바꾸어 부르면서 해당 가치에 대한 마음의 감화를 깊게 하는 활동도 있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도덕적 삶을 본받고 마음을 다지게 하느 ㄴ활동을 할 수도 있다. 우리 사회 또는 다른 나라에서 실제로 있었던 도덕적 삶의 사례를 두루 찾아 이를 접하면서 마음의 감화를 받고 그러한 삶을 본받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게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그 도덕적 가치 규범에 따르는 삶이 자기와 관계가 없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들의 생활에서 그리고 우리 또는 다른 나라 사회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임을 깨달으면서 마음에 감동하고 또 이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욕을 더욱더 굳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도덕적 정서 및 의지의 강화
 위 단계를 거쳐 다음에는 가치를 자신의 것으로 재확인하고 정립하는 가치 주체화와 개별화 및 도덕적 심정의 심화 단계로 나아간다. 이를 위해서는 위의 단계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 가운데 느끼고 알게 된 점을 발표하고 논의하면서 가치의 개별화와 주체화 그리고 일반화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느낌과 생각이 서로 달랐을수도 있고 그 정도나 강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마음의 변화가 바람직하거나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자가 경험했거나 느낀 도덕적 감정과 감동 및 생각들을 교류하고 정련하면서 가치를 자기 것으로 만들고 또 일반화해야 할 가치 관점을 공유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정리 및 확대 적용과 실천 생활화
 학습한 내용을 상기하고 요약정리하면서 해당 가치 규범을 생활 속으로 확대 적용하고 실천 체험을 도모해 본다. 즉, 그 시간에 다룬 가치와 관련하여 실천 의지를 다지고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일을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그 실천 계획을 세운다든가 실제로 가정의 협력을 얻어 학생들이 실천해 보도록 한다든가 하는 것들이 이에 해당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