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별 특징 알아보기

by ⓨⓐⓝⓖ 2023. 4. 2.
반응형

 인습 이전 수준의 아동은 도덕적 규범이나 선악의 개념은 갖고 있으나, 이를 단순히 보상이나 처벌을 가져다주는 행위결과나 외적인 권위에 비추어 해석한다.

 1단계 처벌과 복종의 정향 단계에서는 처벌과 같은 외적 규제를 피하거나, 또는 권위에 무조건 복종하는 수준의 도덕성을 보인다. 특정 행위의 결과가 지니는 가치나 의미를 도외시한 채 그 행위가 가져다주는 물리적 결과가 선악 판단의 기준이 된다.

 2단계 도구적 상대주의 정향은 자신에게 이익이 되거나 필요를 충족시켜주는 행위는 선이라고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일종의 교환관계로서 인간관계를 이해하는 상대적 쾌락주의의 지배를 받게 된다.

 

 인습 수준에서는 가정, 사회 등 집단의 기대를 따르는 것이 그 결과와는 상관없이 가치를 지니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단순히 사회의 정서에 피동적으로 동화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질서를 유지하고 정당화한다.

 3단계 착한 아이 정향에서는 올바른 행위란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고 도와주며 그렇게 함으로써 다른 사람이 승인하는 행위이다. 이 단계에서 비로소 행위자의 의도나 내적 특성을 고려하게 된다.

 4단계 사회 유지의 정향 단계에서 아동은 사회질서 유지와 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올바른 행동이란 자신의 의무와 책임을 수행하고, 합법적 권위를 존중함으로써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행동이다.'

 

 인습 이후 수준에서는 도덕적 가치나 권위가 개인이나 집단의 권위와는 관계없이 그 자체로서 타당성을 가짐을 깨닫게 된다.

 5단계 사회 계약적 정향에서는 올바른 행동은 개인의 기본 권리와 사회 전체가 합의에 도달한 도덕 기준에 비추어 규정된다. 사회적 합의로서의 법과 제도가 중요시되지만 사회적 유용성이나 합의성에 따라 법과 제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 또한 중요시된다. 자유, 정의, 행복추구 등의 가치가 법보다 상위에 있음을 어렴풋이 인식하는 단계이다.

 6단계 보편적, 윤리적 정향에서는 법이 대개 자신이 구성한 윤리적 원리에 일치하기 때문에 따르지만 이원리와 충동할 때는 자신의 원리에 따라 행동한다. 보편적인 원리, 즉 인권평등과 인격체로서의 인간의 존엄성을 가장 존중한다. 스스로 선택한 윤리적 원칙을 따르고 그 원칙에 의해서 정의를 판단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