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콜버그 이론의 특성과 비판 알아보기

by ⓨⓐⓝⓖ 2023. 4. 2.
반응형

이론의 특징

  • 단계는 아동이 도덕적 문제를 생각하고 추론하고 해결하는 나름의 사고 양식 또는 방식으로서 선명하게 구분되는 질적 차이를 지닌다.
  • 이러한 사고 양식의 차이는 개인의 발달에서 불변적 계열, 순서, 연속성을 형성하고 있다.
  • 이처럼 다르고 계열적인 사고 양식은 각각 구조적 전체를 이루고 있다.
  • 인지 단계는 위계적 통합체이다.
  • 단계의 개념은 다양한 문화적 조건에서도 계열의 보편성을 지닌다.

이론의 비평

  1. 퇴행의 문제이다. 이떤 피험자는 앞으로 진행하기 이전에 이전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이 보인다. 콜버그는 단계의 순서에서 퇴행이란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그런 사람을 후퇴자라고 주장하고 있다.
  2. 단계에서 단계로의 이행 문제이다. 콜버그는 사회화에 의한 도덕적 단계의 발달을 인정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도덕적 태도를 사회화의 산물이라고 믿고 있다. 콜버그는 도덕적 태도 형성은 아동 상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하는 아동의 자발적 행동의 결과라고 본다.
  3.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동 간의 불일치 문제이다.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동이 일치하기가 다수의 사람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대한 콜버그의반론은 도덕 판단이 행위로 이행되지 못하는 것은 도덕적 사고가 단순히 일차적인 의무 판단 수준에만 그치고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된다는 이차적인 책임 판단 수준으로 심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4. 남성과 여성의 차이이다. 남성은 여성보다 한 단계 더 높은 발달단계에 이른다고 하여 도덕 수준의 성차를 주장하는데 이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단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남녀의 처리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차이일 뿐이지, 도덕적으로 남성이 더 우월하기 때문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5.  정서, 죄책감, 개인에 대한 배려, 자책 등 도덕성의 정의적 측면의 발달을 등한시했다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