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딩스는 배려 윤리 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 4가지를 강조하고 있다.
- 모범 보이기 : 배려의 본보기를 보여 주고 경험하게 하는 가운데 이를 본받게 하는 것을 말한다. 나딩스는 이러한 모범이 대부분의 도덕교육에서 중요하지만 배려에 있어서 특히 중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 대화 : 이해와 공감, 그리고 인식을 위한 공동의 탐색 활동을 말한다. 도덕적 대화는 형식적 측면에서는 의견의 교환이라기보다는 대화의 상대자에게 더욱 중점을 두어 서로 격려해 주고 도와주며 인도해 주고 추종하는 것이며, 내용적 측면에서는 도덕적 문제들을 개방적인 방식으로 토의하는 것이다.
- 실천 : 나딩스는 윤리적 이상을 형성해 가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배려를 실천하면서 익히도록 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의 방식으로 관련 지식이나 경험, 능력이 풍부한 교사, 부모, 어른 등과 함께 그 지도와 안내를 받으면서 직접 실천해 보는 도제 방식이나 공동체를 위한 봉사 활동, 협동 학습 등을 제안한다.
- 인정과 격려 : 다른 사람 또는 학생들 속에 있는 어떤 우수한 점, 존경할만한 점 또는 수용할만한 점, 그들이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더 훌륭한 자아 등을 찾아서 이를 인정하고 그 발달을 격려해 주는 것이다.
반응형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도덕 심리학이란? (0) | 2023.04.02 |
---|---|
배려 윤리와 덕 윤리의 비교 (0) | 2023.04.02 |
나딩스가 제안하는 배려의 의미 알아보기 (0) | 2023.04.02 |
배려 윤리와 정의 윤리의 비교 (0) | 2023.04.02 |
길리건의 여성 도덕 발달론 알아보기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