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길리건의 여성 도덕 발달론 알아보기

by ⓨⓐⓝⓖ 2023. 4. 2.
반응형

 길리건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및 이에 기초한 도덕교육론이 지배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을 무렵 남성의 왜곡된 관점에 의해 도외시되었던 또 다른 도덕 및 도덕 발달의 영역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그녀는 남성 위주의 도덕 및 도덕 발달 이론이 하나의 이데올로기, 즉 왜곡된 관념으로서의 하위 의식일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여성들에게 특유한 도덕 및 도덕 발달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그녀의 주장은 도덕의 영역에는 남성의 도덕으로 칭할 수 있는 정의와 권리의 도덕 외에 여성의 도덕이라고 할 수 있는 따뜻한 배려와 책임의 도덕이 고려 내지 보완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길리건은 남성 위주의 인지적 도덕 발란 이론이 도덕의 영역을 협소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하면서, 권리와 정의 중심으로 되어 있는 지금까지의 도덕 및 도덕 발달 이론에 따뜻한 배려와 책임을 중심으로 하는 여성의 도덕에 대한 이해가 첨가됨으로써, 도덕의 영역 및 도덕 발달이론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길리건에 다르면 배려 도덕성은 아래의 단계를 거쳐 발달된다고 한다.

  1. 제1 수준 자기 생존과 이기성: 자기 생존과 이기심이 주 특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선이고 도덕이라고 본다.
  2. 제1 과도기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의 이행: 이기심과 책임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대립되는 단계로, 내가 원하는 것이 항상 올바른 것으로 인도하지는 않기 때문에 때로는 어떤 필수적인 것이 내가 원하는 것보다 우선해야 한다는 관점이 나타난다.
  3. 제2 수준 책임과 자기 희생: 인습적 의미에서의 선함과 타인에 대한 책임을 동일시하는 특징을 보인다. 사회적 기대와 요구에 동조하고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등 자신의 가치를 배제시킨다.
  4. 제2 과도기 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의 이행: 배려와 책임의 개념이 자기 자신의 필요와 욕구 및 이해관계까지 포괄하는 수준으로 확대된다.
  5. 제3 수준 비폭력적 배려와 책임: 배려는 모든 이들에게 요구되는 하나의 보편적인 의무이자 보편적 도덕원리가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