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결중심 치료 이론은 과거에 초점을 두는 전통적인 상담치료와 달리 현재와 미래에 초점을 둔다. 인간은 건강하고, 능력이 있으며, 자신의 삶을 향상할 수 있는 해결을 구성할 능력을 가진다고 본다. 상담자는 문제보다 해결에 초점을 두어 내담자와 조력하여 그의 삶을 향상하고자 한다.
기본규칙
- 내담자가 문제 삼지 않는 것은 건드리지 않는다.
- 효과가 없다면 그것을 하지 않고 대신 다른 무엇을 한다.
- 효과가 있는 것을 알면 그것을 더 많이 한다.
치료단계
상담 전 변화 - 예외사항 찾기 - 능력 찾기 - 기적 질문 - 척도 - 재구조화
질문 종류
- 첫 면담 전 변화에 대해 질문 : 첫 상담을 약속한 시간과 첫회 상담 사이에 변화에 대하여 질문한다. 상담 이전의 변화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내담자의 잠재능력을 발견한다.
- 예외 질문 : 예외적인 것을 탐색하여 인정과 의미를 부여한다.
- 기적 질문 :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가상적으로 생각해 보도록 질문한다.
- 척도 질문 : 숫자를 사용하여 내담자가 현실적이며 구체적으로 생각을 정리하도록 돕는다.
- 대처 질문 : 내담자가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처해 온 방법을 발견하고, 자신의 자원과 강점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 관계성 질문 : 다른 사람의 의견, 생각, 가치관 등에 관하여 생각하고 이해하도록 돕는다.
- 악몽 질문 : 내담자에게 뭔가 더 나쁜 일이 일어나야만 내담자가 무엇인가를 하려고 하거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치료자가 판단할 때 사용한다.
반응형
'교육 > 생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럼볼츠의 사회학습 이론 & 수퍼의 발달이론 (0) | 2021.05.25 |
---|---|
로우 욕구이론 & 홀랜드 인성이론 (0) | 2021.05.24 |
인간주의 상담이론(비지시적 상담, 내담자 중심 상담) (0) | 2021.05.22 |
지시적 상담이론(특성이론, 특성-지시적 상담이론) (0) | 2021.05.21 |
글래서 현실치료 이론 (0) | 2021.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