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체육교육론

체육과 직접 교수 모형

by ⓨⓐⓝⓖ 2023. 4. 4.
반응형

 직접 교수 모형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파생한 것으로서, 교사가 대집단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개념이나 기술을 설명하고, 교사의 지시에 따라 연습하는 학생의 이해 정도를 조사여며, 교사의 감독 아래 반복 연습하게 하는 교수 형태를 말한다. 이 모형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리더로서의 교사이다.

 이 모형은 학생들이 과제 연습에 높은 비율로 참여하도록 수업 시간과 자원들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교사는 분명한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기능 및 개념을 주로 시범과 설명의 방법으로 가르치며, 학생들이 과제를 연습할 때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한다.

 

 수업은 대개 전시 과제 복습-새로운 과제 제시-초기 과제 연습-피드백 및 교정-독자적인 연습-본시 학습 복습의 순으로 한다.

 전시 과제 복습 직접 교수 모형의 수업은 전시간 수업을 간단히 확인하고 시작한다. 전시학습 확인에서는 전시간 수업에서 배운 중요한 기능과 개념을 반드시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첫째, 교사가 학생들이 전시간에 배운 내용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둘째, 학생들에게 전시간에 배운 내용을 환기시키며, 셋째, 학생들에게 학습내용을 상기시킴으로써 빠르게 학습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고, 넷째, 전시간에 학습한 내용과 새로 배울 내용을 연결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과제 제시 도입활동 직후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에서 배우게 될 새로운 내용을 제시한다. 교사는 새로운 내용을 보여주거나 교사가 모델이 되어 과제를 제시하는데 이때 배울 내용과 수행방법이 언어적 또는 시각적으로 제공된다. 이것을 통해 학생들은 숙달된 수행이 무엇인지에 대한 아이디어나 청사진을 얻게 된다. 이때 과제를 제시하는 내용과 방법은 학생의 나이와 수준에 적절한 것이어야 한다.

 초기 과제 연습 다음으로 제시된 과제를 연습하게 되는데 학생들이 과제에 능숙해질 수 있도록 연습하는 첫 단계이다. 연습 과제는 학생들의 높은 참여도와 반응률을 이끌어 내는 것이어야 하고 교사는 높은 비율의 교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찰을 해야 한다. 대체적으로 첫 번째 연습과제는 학생들이 80% 이상의 성공률을 이룰 때까지 계속 언급되어야 한다.

 피드백 및 교정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교사의 긍정적 피드백과 교정적 피드백은 학습 과제가 연습되는 초기 또는 각 과제 사이사이에 이루어질 수 있다. 피드백은 내용이 있어야 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무엇이 올바른 동작이고 그릇된 동작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지적해야 한다. 피드백을 통해 교사는 중요한 수행단서를 다시 가르칠 수도 있고 학생들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준비를 확실하게 하도록 첫 단계의 과제를 반복하게 할 수도 있다.

 독자적인 연습 교사가 학생들이 기초적인 과제와 지금까지 감독한 연습과제에 능숙하게 되었다고 판단하면 학생들이 좀 더 독립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교수 학습을 계획할 수 있다. 이때도 교사가 교수 학습을 계획하고 학습 활동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지만,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연습에 대한 단서나 감독을 받기 위해 교사를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단계의 목표는 교사가 새로운 과제나 내용을 제시하기 전에 학생들이 독립된 학습과제에서 95% 이상의 성공을 이루는 것이다.

 본시 학습 복습 본시 학습 과제에 대한 복습을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본시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성취를 확인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새로운 내용이 이전의 수업 내용을 토대로 만들어진다는 것을 주지하도록 돕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