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료 교수 모형은 한 학생 또는 소집단의 학생들이 교사 역할과 학습자의 역할을 번갈아 맡아 협력하여 정해진 학습을 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교사 중심의 강의식, 주입식 일변도의 학습지도 방법을 탈피하여 학생들끼리 협력하는 원리를 학습 활동에 도입하는 학습지도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초등학교 체육시간에 물구나무서기 학습을 할 때 두 명의 학생이 서로 보조하고 도와가며 학습하는 것은 동료 교수 모형의 한 예라 할 수 있다.
동료 교수 모형에서 동료교사와 학습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전반적인 책임은 동료교사에게 있다고 할 수 있다. 동료 교수 모형에서는 학생들이 동료교사와 학습자 역할을 번갈아 수행하면서 서로 가르치고 학습하게 된다. 즉 나는 너를 가르치고 너는 나를 가르친다는 입장에서 서로 상호 보완과 협력을 해 가며 교사로부터 주어진 학습과제를 완수해 나간다.
동료 교수 모형은 체육과의 여러 영역에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형이다. 동료 교수 모형은 개인 운동 및 팀 경기 등 많은 영역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경쟁심이 많이 유발되는 팀 경기에는 적용하기에 불합리하다. 경쟁적인 팀 경기에서는 동료교사와 학습자간의 상호 교류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동료 교수 모형은 움직임의 개념 및 단순한 기술을 익힐 때, 경쟁적이지 않은 게임 활동, 표현 활도에서의 민속춤과 같이 정형화된 춤 익히기 또는 체력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수영 등과 같은 수상활동에 적용하기 알맞다.
그리고 짝을 정할 때에는 개인적인 갈등관계에 있는 사람을 짝으로 정하지 말아야 하며, 서로 사이가 좋거나 유사한 학생들이 짝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에는 학생들끼지 스스로 자신의 짝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료 교수가 시작되지 전에 결정된 짝끼리 만족스러운지에 대해 학생에게 물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정해진 짝은 단원을 배우는 동안 동료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을 번갈아 하게 된다. 짝을 지을 때에는 운동 기능이 뛰어난 학생과 낮은 학생, 혹은 남자와 여자로 짝을 지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로 사이가 좋은 동성의 학습자를 짝지어 주는 것이 학습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교육 > 체육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과 협동 학습 모형에 적합한 수업 전략 (0) | 2023.04.04 |
---|---|
체육과 협동 학습 모형의 기초 (0) | 2023.04.04 |
체육과 개별화 수업 모형 (0) | 2023.04.04 |
체육과 탐구 수업 모형 (0) | 2023.04.04 |
체육과 직접 교수 모형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