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구 수업은 문제해결학습, 탐구학습, 학생중심학습, 발견학습, 비지시적 학습 등의 유사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에게 기존의 지식과 기술을 설명식으로 전수시켜 주기보다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어진 상황에서 문제를 인식하고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나 기능을 길러 주려는데 초점을 두는 교수 학습 방법의 형태이다. 그러므로 탐구 수업 모형의 주체는 학생들이며, 학생들의 직접적인 경험이 중시된다. 체육 교육과정 모형 중 움직임 교육 모형은 움직임의 개념을 탐구하는 것을 방법적인 틀로 삼고 있어 일종의 탐구중심 수업 방법이 적용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탐구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자율적인 학습능력을 개발시켜 주고자 창안된 것이다. 탐구 중심 수업 방법은 과학적인 탐구에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요구한다. 학생들은 자연현상에 대하여 호기심이 많고 탐구해 보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탐구 중심 수업 방법은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분야를 더욱 진지하게 탐구해 볼 수 있도록 세부적인 안내를 제공해 주면서 학습자의 자발적 탐구활동을 촉진시켜 주려는데 관심을 두게 된다. 탐구 수업 모형을 통하여 과학적인 탐구 절차를 직접 가르침으로써 학생들은 점차로 자신의 탐구 과정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탐구 수업 모형의 목적은 학생들이 개인 또는 집단에게 주어진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여 해결 전략을 세우고 전략에 따라 탐구활동을 수행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련의 지식과 방법을 학습하게 하는데 있다. 다시 말하면, 탐구 수업 모형의 일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질문을 제기하거나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내는데 필요한 지적 훈련이나 지적 기능을 개발시켜 줄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와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인과적 추론 능력을 신장시켜 주려는데 있다.
탐구 수업 모형의 초등학교 체육 수업에의 적용은 이 교수 학습 방법이 움직임의 개념과 전략 등에 관한 인지 학습과 수행에 대한 탐구, 집단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과 관련된 과제 수행에 적절하기 때문에 체육과 전 영역 단원에 적용이 가능하나, 특히 기본 움직임 개념을 학습하거나, 체조의 동작과 같은 기술의 수행을 탐구하거나, 표현 영역의 창작 표현활동 부분과 새로운 게임을 학습할 때에 적용하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할 때는 대체적으로 학생들 개개인의 공간이 필요하고, 사용할 장비나 기구들이 선택될 수도 있으며, 개별적으로도 가능하지만 대체적으로 집단을 이루어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학생들에게 많은 자율권을 부여하고 교사의 통제 수준이 낮기 때문에 안전 관리에 대한 정보와 주의를 필히 제공해야 하며, 적정한 선에서 시간을 제한하여 학습의 효율화를 꾀하도록 한다.
'교육 > 체육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육과 협동 학습 모형에 적합한 수업 전략 (0) | 2023.04.04 |
---|---|
체육과 협동 학습 모형의 기초 (0) | 2023.04.04 |
체육과 개별화 수업 모형 (0) | 2023.04.04 |
체육과 동료 교수 모형 (0) | 2023.04.04 |
체육과 직접 교수 모형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