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심리학

상보적 교수

by ⓨⓐⓝⓖ 2021. 5. 11.
반응형

개념 및 정의

  1. 상보적 교수법은 원래 팰린스(Palincsar)와 브라운(Browm)이 제안한 것으로 학생들이 자신이 읽은 것에 깊이 생각하고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2. 처음에는 교사와 학생이 학습 과제를 함께 해결하다가 점차적으로 학생이 독자적으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사가 학생에게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교사의 직접적인 설명보다는 글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 협의 과정에 더 초점을 둔다.
  3. 처음에는 모방을 통해 특정한 전략을 익히고 그 다음에는 교사의 도움을 받으며 전략을 적용해 보고, 이들 문제에 대해 집단 토론을 하고 마침내 자기 스스로 이 전략을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단계까지 이르는 것을 강조한다.

 

 

특징

  1. 초기에는 교사가 과제 해결 활동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만 점차 그 주도권이 학생에게로 옮겨간다.
  2. 학생과 교사가 서로 역할을 바꾸어 가며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은 중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3. 소집단 협동 학습의 한 혀태로 전체 과정에서 동료나 다른 사람과의 상호 협동 또는 협력을 강조한다.
  4. 학생들이 자신의 이해 과정을 점검하고 통제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5. 학생들의 능력 수준에 별다른 차이가 없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상보적 교수법의 전략(상황에 따라 순서는 변화될 수 있다)

  1. 요약하기 : 학생은 읽은 텍스트에서 중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바꾸어 말하고, 통합한다.
  2. 질문하기 : 요점이나 제재, 비판적인 생각이 포함된 종류의 질문을 한다.
  3. 명료화하기 : 어려운 부분이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을 분명하게 만든다.
  4. 예측하기 : 작가가 텍스트에서 말하고자 했던 것이나 다음에 올 것에 대해 예측을 한다.

 

상보적 교수의 교수-학습 절차

  1. 안내 - 교사의 시범 - 조력 - 자기학습
  2. 인지적 도제이론의 절차를 함께 사용하면 효율적이다. 인지적 도제는 모델링-코칭-스케폴딩-명료화-반성-탐구 순으로 이루어진다.

 

교수적 대화의 특징

  1. 상보적 교수 등에서 사용되는 대화형태의 언어적 표현을 지칭하는 것이다.
  2. 중요한 학습과 이해는 상호작용과 대화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학생은 근접 발달 영역 내에서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  (0) 2021.05.11
에릭슨 사회심리 발달이론  (0) 2021.05.11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  (0) 2021.05.11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0) 2021.05.11
브룸펜브레너 생태학적 발달이론  (0) 2021.05.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