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심리학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by ⓨⓐⓝⓖ 2021. 5. 11.
반응형

의의

  1. 피아제는 인지활동이란 지각한 환경에 대한 조직 활동이며, 환경에 대한 적응활동으로 본다.
  2. 아동은 스스로 세계를 구조화하고 이해하는 독자적인 존재이다.

 

 

인지

1) 구조(도식, 스키마)

  • 인지는 구조적 상태로 존재할 것으로 추론된다. 행동을 설명하는 인지의 조직적 특성이다.

2) 기능 : 인지구조가 지니는 선천적 활동이며, 인지구조의 변화를 가져온다.

  1. 동화 : 새로운 환경을 기존의 도식에 통합되게 하는 인지과정이다.
  2. 조절 : 새로운 도식을 창출하거나 도식을 변형하는 일이다.
  3. 평형 : 동화와 조절 간의 균형을 말한다. 대상의 인식은 평형이고 불인식은 불평형이다.
  4. 조식화 : 인지들이 일관성 있고 논리적으로 체제화하고 결합하는 과정이다.

3) 내용

  1. 인지구조의 내용으로 지적 활동을 반영하여 관찰되는 행동, 연령, 아동의 성질상 상당한 차이가 난다.
  2. 인지구조의 종류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인지발달단계

1) 감각 운동기(0~2세)

  1. 모방 : 주변 사람들이나 환경의 소리와 행동을 모방한다.
  2. 언어 미발달 : 아직 언어가 발달하지 않는다.
  3. 대상 영속성 : 생후 6개월 정도면 대상 불영속성에서 대상 영속성으로 변화한다. 대상 영속성이란 대상을 직접 보거나 만질 수 없는 경우에도 공간 내의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음을 아는 능력이다.

2) 전조작기(약 3~5세)

  1. 중심화 :  대상이나 사물을 한 가지 관점에서 보고 이해하려는 경향이다.
  2. 언어발달 : 단어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3. 상징적 기능 : 모형이나 장난감을 실제 사물 인양 가지고 놀이한다.

3) 구체적 조작기(약 6~11세)

  1. 보존성 : 특정한 수, 길이, 부피 등 표현을 달리하여도 그것이 보전되어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2. 가역성 : 보존성을 역으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다.
  3. 중다 분류 : 2개 이상의 기준으로 사물을 분류한다.
  4. 탈중심화 : 여러 차원에서 사물과 환경을 인식하는 능력으로 복합적 사고를 지칭한다.

4) 형식적 조작기(약 12세~)

  1. 추상적 사고 : 구체적으로 실제적인 상황을 넘어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다.
  2. 조합적 사고 : 문제를 직면했을 때 가능한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사고이다.(문제해결력)
  3. 가설 연역법 : 문제를 파악하고, 가설을 세우고,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정한다.

 

교육적 적용

  1. 능동적 학습을 강조한다.
  2. 동화와 조절을 유도한다.
  3. 인지구조에 적합한 교육내용과 방법으로 제시해야 한다.
  4. 루소와 마찬가지로 선행교육과 선행학습을 부정한다.
  5. 직접 경험과 발견학습을 강조한다.
  6. 아동의 실수로 발달단계 파악한다.
반응형

'교육 >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 사회심리 발달이론  (0) 2021.05.11
상보적 교수  (0) 2021.05.11
비고츠키 사회문화이론  (0) 2021.05.11
브룸펜브레너 생태학적 발달이론  (0) 2021.05.11
교육심리학 발달  (0) 2021.05.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