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
- 교육과정 편성·운영 주체에 따른 세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3점)
-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관점(3점)과 각 관점에서 실행해야 할 교사의 역할(3점)
-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3점)과 각 방안별 기대 효과(3점)
논지
논점1)의 논지
- 세 가지 수준 '국가' '지역', '학교' (국가 대신 교육부, 지역 대신 교육청)
-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이유 국가 수준 '공통 기준', '교육의 질 보장', '교육의 표준화' 지역 수준 '지역의 특수성', '지역의 교육 중점', 학교 수준 '학생의 특성', '자율성 보장', '학교의 실정 고려'
논점2)의 논지
- '충실도'('교과서에 충실', '교과서의 내용을 전달'), '상호적응'('교과를 통합하여 구성', '재구성'), '생성'('학생들과 프로그램을 함께 개발',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 과정 개발')
- 김 교사의 관점 '국가 교육과정의 전달자', '구현자', '실행자', '소비자'
- 박 교사의 관점 '교육과정 재구성자', '학교의 특성과 국가 교육과정 간의 조정자'
- 최 교사의 관점 '교육과정 개발자', '교육과정 결정자', '교육과정 창안자', '교육과정 설계자, '학생의 요구를 분석', '학생을 개발 과정에 참여토록 유도'
논점3)의 논지
- 운영 방안 '기초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운영'
- 기대효과 '기초 학습 능력 함양', '시수 확보', '효과성을 더욱 제고'
논거
논점1)의 논거
교육과정 편성·운영 주체에 따른 세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로는
첫째, 국가 수준 측면에서 국가 수준의 공통 기준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논거: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국가 수준의 공통 기준을 마련하여 일정 수준의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있다.
둘째, 지역 수준 측면에서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논거: 지역의 교육 중점과 같은 지역의 현황을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지역 특색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셋째, 학교 수준 측면에서 학생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논거: 학생들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하여 현장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논점2)의 논거
김 교사, 박 교사, 최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각각의 관점으로는
첫째, 김 교사는 국가 교육과정에 충실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논거: 국가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실행하여 국가가 의도한 방향을 교육에 구현한다.
둘째, 박 교사는 교과를 통합하여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논거: 학교나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조정하여 실행한다.
셋째, 최 교사는 학생들과 교육과정을 함께 개발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논거: 교사와 학생이 함께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어가며 실행한다.
한편, 각 관점에서 실행해야 할 교사의 역할은
첫째, 김 교사의 관점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전달자이다.
논거: 교사는 국가 교육과정을 잘 숙지하여 학생들에게 충실히 전달해야 한다.
둘째, 박 교사의 관점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자이다.
논거: 국가 교육과정이 학교에 조화가 잘 될 수 있도록 재구성해야 한다.
셋째, 최 교사의 관점에서는 교육과정 개발자이다.
논거: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그들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논점3)의 논거
김 교사, 박 교사, 최 교사가 각각 취할 수 있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으로는
첫째, 기초 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한다.
논거: 자연수의 사칙연산이 서투른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한다.
둘째, 교과(군)별 20% 범위 내에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한다.
논거: 필요에 따라 시수를 적절히 증감하고 교육 주제와 관련된 교과를 통합한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을 선택적으로 편성·운영한다.
논거: 창의적 체험활동 중 자율활동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편성·운영한다.
각 방안별 기대 효과로는
첫째, 학생들에게 기초 학습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논거: 학생의 학습 결손을 보충하고 기초학력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필요한 시수를 확보하여 의도한 교육을 실행할 수 있다.
논거: 프로젝트 수업에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효과적인 편성·운영을 할 수 있다.
논거: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 교육이 가능하다.
서론&결론
1. 서론
성공적인 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과정 자율성의 필요성
2. 결론
교육과정 자율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 필요
'교육 > 교직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
2019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0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1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3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