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
- 김 교사가 진영이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 역량을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여 2가지 제시하고, 각각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를 진영이의 특성과 관련지어 1가지씩 논하시오.
- 박 교사의 제안에서 상담 초기에 필요한 관계 형성 방법 3가지를 찾아 쓰고, 김 교사가 그 방법들을 진영이에게 어떻게 적용할지 언어적 표현의 예시를 들어 3가지 논하시오.
- 대화에서 진영이의 비합리적 신념 2가지를 찾아 쓰고, 그 신념들이 비합리적인 이유를 박 교사의 의견에 근거하여 2가지 제시한 후,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방안 1가지를 구체적으로 논하시오.
논지
논점1)의 논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여 김 교사가 길러주어야 할 핵심 역량은
첫째, 의사소통 역량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능력
둘째, 자기관리 역량으로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
진영이의 특성과 관련지어 각각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지도 방법으로는
첫째, 의사소통 역량을 기르기 위해 '돌아가며 말하기'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도록 하고 친구가 말하면 고개를 끄덕이도록 함
둘째, 자기관리 역량을 기르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법을 사용하고 교사가 적절한 비계를 설정하여 성공의 기쁨을 맛보게 함
논점2)의 논지
로저스는 바람직한 상담 관계 형성을 강조한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공감
둘째, 수용
셋째, 진솔
언어적 표현의 예시를 든 적용 방안으로는
첫째, 정말 속상했겠구나
둘째, 그래, 다른 사람의 말을 듣기 싫을 때도 있지
셋째, 다른 사람에게 의지만 하다가 너의 능력을 기를 기회를 놓칠까 선생님은 걱정이 돼
논점3)의 논지
진영이는 비합리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 신념으로는
첫째, 항상 실수 없이 잘해야만 한다는 신념
둘째, 모든 사람에게 인정받아야 한다는 신념
이 신념들이 비합리적인 이유로는
첫째, 진영이에게 현실적이지 않음
둘째, 진영이에게 도움이 되지 않음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첫째, 왜곡된 신념을 논박하기
논거
논점1)의 논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하여 진영이에게 2가지 핵심 역량은
첫째, 의사소통 역량이다.
논거: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지 못하고 자기 생각과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함
둘째, 자기관리 역량이다.
논거: 자신감이 떨어지고 다른 사람에게 의존적이며 자기주도적 능력이 부족함
각각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진영이의 특성과 관련하여 다음의 지도 방법은
첫째, 의사소통 역량을 기르기 위해 돌아가며 말하기 기법을 사용한다.
논거: 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도록 하고 친구가 말하면 고개를 끄덕이도록 함
둘째, 자기관리 역량을 기르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논거: 이를 위해 교사가 적절한 비계를 설정하여 진영이가 성공의 기쁨을 맛보게 함
논점2)의 논거
박 교사의 제안에서 상담 초기에 필요한 관계 형성 방법은
첫째, 공감이다.
논거: 상대방 감정의 정확한 공감적 이해가 필요함
둘째, 수용이다.
논거: 선생님을 믿고 편안하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이 필요함
셋째, 진솔이다.
논거: 자신의 감정이나 태도를 순수하고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이 필요함
이러한 방법들을 진영이에게 다음과 같은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첫째, 공감과 관련하여 "정말 속상했겠구나"를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수용과 관련하여 "그래, 다른 사람의 말을 듣기 싫을 때도 있지"를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진솔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에게 의지만 하다가 너의 능력을 기를 기회를 놓칠까 선생님은 걱정이 돼"를 적용할 수 있다.
논점3)의 논거
대화에서 진영이의 비합리적 신념 2가지를 찾을 수 있다. 그 신념들과 그것들이 비합리적인 이유는
첫째, 항상 실수 없이 잘해야만 한다는 신념
논거: 이러한 신념은 현실적이지 않고,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하며 그것이 실패가 아님
둘째, 모든 사람에게 인정받아야 한다는 신념
논거: 남에게만 초점을 맞추고 인정을 못 받을까 두려워하면 스스로에게 도움이 되지 않음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방안으로는
첫째, 논박하기이다.
논거: 자신과 외부 현실에 대한 왜곡된 신념을 현실적, 논리적으로 반박함
서론&결론
1. 서론
효과적 상담기법 및 학생에 대한 이해 필요성
2. 결론
학생과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한 교사의 노력 필요
'교육 > 교직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
2018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2020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1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2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