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
-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는 근거(2점)와 이때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2점)
-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 시 고려해야 하는 인적 자원 측면(4점) 물적 자원 측면(2점)
- 학습부진 원인(1점), 교육내용 측면(2점) 및 교수·학습 측면(2점)의 해결 방안
논지
논점1)의 논지
- 핵심 키워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을 부여함'과 '시도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의한 지역성을 반영함'.
- 유사 답안 김 교사가 언급한 '학교 자체 평가 반영'
- 핵심 키워드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육과정 운영자'.
- 유사 답안 평가자, 소통자, 협력자, 요구 분석가, 학교와 지역사회 연결자, 교육과정 위원회 참석자, 설계·창안·편찬·실행자, 분석자, 실행·결정자 등
논점2)의 논지
- 핵심 키워드 '교사의 역량 및 관심사', '학생의 수준과 특성', '학부모의 관심과 요구', '교장 선생님의 교육 철학과 경영관', '학교의 시설·설비', '교수·학습 자료'
- 유사 답안 현재 교육 경향이 지역사회 협업을 강조하고 있어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 및 '지역사회의 물적 자원'도 일부 점수 인정
논점3)의 논지
- 핵심 키워드 '학습 부담', '교과서에 제시된 모든 것을 다 가르치려고 하는 것', '수업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
- 핵심 키워드 '학습량의 적정화' 및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핵심 개념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 핵심 키워드 '학생의 소극적인 모습', '학습 동기 저하' -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교수·학습 방법',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논거
논점1)의 논거
학교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는 근거로는
첫째, 지역사회와 단위학교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논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와 단위학교의 특성을 발휘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둘째,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논거: 국가 수준의 기본 방향에 벗어나지 않는 정도에서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학교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할 때 교사가 해야 할 역할로는
첫째, 창의적인 교육과정을 주체적으로 개발한다.
논거: 집단지성과 전문성을 발휘하여 특색 있고 창의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둘째, 교육과정을 학급에서 충실히 운영한다.
논거: 편성한 교육과정을 학급경영 및 수업에 성실하게 구현한다.
논점2)의 논거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하는 인적 자원 측면은
첫째, 교사의 역량이나 관심사이다.
논거: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역량과 현재 관심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둘째, 학생의 수준과 특성이다.
논거: 학생의 수준에 맞고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셋째, 학부모의 관심과 요구이다.
논거: 학부모의 관심을 살피고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넷째, 교장 선생님의 교육 철학과 경영관이다.
논거: 학교 경영자의 교육 철학과 경영관을 충실히 구현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한편,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하는 물적 자원 측면은
첫째, 운동장, 체육관 등 학교의 시설·설비이다.
논거: 학교에서 구비하고 있는 시설·설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둘째, 교구, 미디어 콘텐츠 등의 교수·학습 자료이다.
논거: 학교에서 교사가 가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논점3)의 논거
최 교사가 분석한 학습부진의 원인은
교과서 위주의 과중한 학습량 제공으로 인한 학생의 학습 부담이다.
논거: 교과서 진도 중심으로 수업의 질보다는 양 위주의 학습을 제공하여 학습부진이 발생했다.
교육내용 측면에서 학습부진의 해결 방안으로는
첫째, 학습량을 적정화한다.
논거: 핵심 개념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고 학습량을 적정화하여 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둘째, 학생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핵심 개념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논거: 학생이 갖고 있는 친숙한 경험과 연계하여 학생의 현 수준에 적합한 핵심 개념 위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
교수·학습 측면에서 학습부진의 해결 방안으로는
첫째,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한다.
논거: 협력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을 실시하여 학생 중심 수업을 구현한다.
둘째, 학생의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한다.
논거: 문제 해결 학습, 토의·토론 학습 등을 통해 학생의 학습 동기를 높인다.
서론&결론
1. 서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중요성과 어려움
2. 결론
창의적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교사의 노력 필요
'교육 > 교직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
2019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0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2 |
2022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0 |
2023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