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직논술

2014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by ⓨⓐⓝⓖ1 2023. 7. 13.
반응형

논제

김 교사가 실시한 다음의 3학년 과학과 수업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1. 교사가 수업 분석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를 2가지 제시하시오.
  2. 3가지 준거(학습 목표 진술 방식, 교실 행동 관리,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습자에 대한 지원)에 의거하여 김 교사의 수업 행동에 나타난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다음 수업 사례를 들어 구체적으로 각각 1가지씩 논하시오.

논지

논점1)의 논지

교사의 수업 능력을 향상시켜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한다.(교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여준다.(학생)

논점2)의 논지

학습목표 진술 방식의 문제점 - 합리적인 학습목표 진술방식

'알아보자'는 학생들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 명시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진술이다.

학생들이 학습목표에 도달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명시적인 동사로 진술되어야 한다. 즉, 다시 말해 행동목표로 진술하여야 한다.

 

교실 행동 관리에서 나타난 문제점 - 올바른 교실 행동 관리가 될 수 있는 대안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의 행동을 무시하고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학습 흥미도를 고려하여 지도하고, 잘못된 부분은 교정을 하며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습자에 대한 지원의 문제점 -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습자에 대해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

그림을 그리고 싶어하는 학생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하는 학생을 고려한 학습활동을 준비하여야 한다.


논거

논점1)의 논거

교사가 수업 분석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로는

첫째, 교사의 수업 능력이 향상된다. / 교사의 전문성이 신장된다.

논거: 수업 분석 과정에서 수업의 부족한 점을 발견, 개선하여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 / 동료 장학 과정을 통해 동료 교사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높인다.

논거: 학생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분석을 통해 최대한 많은 학생이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논점2)의 논거

학습목표 진술 방식의 문제점은

학습 목표를 '알아보자'와 같이 진술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논거: '알아보자'와 같은 표현은 학생들이 학습 목표에 도달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진술 형태이다.

이에 대해 합리적 대안으로는

'바다에 사는 동물을 특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와 같은 행동형 학습목표가 적절하다.

논거: 학습 목표는 행동형, 성취기준형으로 제시하여 학생이 이 수업에서 달성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시적으로 알 수 있게 표현되어야 한다.

 

교실 행동 관리의 문제점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학생의 행동을 무시하고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논거: 사례에서 충민이가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그림만 그리거나, 교실 밖으로 뛰쳐나가는 행동, 학생들이 친구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김 교사는 이를 제지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합리적 대안으로는

학생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도와 교정을 하며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논거: 학생이 문제 행동을 보일 때 주의를 주거나, 학급의 규칙을 상기시키도록 한다.

 

특수한 요구를 지닌 학습자에 대한 지원의 문제점은

그림을 그리고 싶어하는 학생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았다.

논거: 사례에서 충민이가 수업에 흥미가 없고 그림을 그리고 싶어 했지만, 다른 학생들과 같은 일반적인 활동을 제공하였다.

이에 대해 합리적 대안으로는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하는 학생을 고려한 학습활동을 준비하여야 한다.

논거: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충민이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바다 생물 그림 카드 만들기'와 같은 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

논점3)의 논거

 


서론&결론

1. 서론

수업 능력 향상을 위한 교사의 수업 분석 필요성

2. 결론

학생의 깨달음을 일으키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 노력 필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