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
학생의 수업 참여 정도는 학생이 학습하고자 하는 열의를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교실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시켜야 하는 이유 2가지를 논하시오.
- 민아가 적정 수준의 학습동기를 갖지 못하는 원인 4가지를 민아의 진술을 토대로 논하시오.
- 각각의 원인으로 발생한 밍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 4가지를 논하시오.
논지
논점1)의 논지
교실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시켜야 하는 이유로는
첫째, 수업 몰입도가 높아진다(단기적)
둘째,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 / 학습에 대한 성취도가 높아진다(장기적)
논점2)의 논지
민아가 적정 수준의 학습동기를 갖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첫째, 학습자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지 않은 학습 자료를 준비했기 때문이다.
둘째, 학습자의 출발점을 진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준 높은 문제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학습자가 학습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학습 내용을 자신과 관련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점3)의 논지
김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으로는,
첫째, 학습자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 학습 자료를 준비한다.
둘째, 학습자 출발점을 진단한다.
셋째, 학습자가 학습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학습 내용을 자신과 관련지을 수 있도록 한다.
논거
논점1)의 논거
교실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시켜야 하는 이유로는
첫째, 수업 몰입도가 높아진다.
논거: 학습동기를 높이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므로 자연스레 몰입도가 높아질 수 있다.
둘째,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 / 학습에 대한 서취도가 높아진다.
논거: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면 수업에 흥미를 갖게 되어 학습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논점2)의 논거
민아가 적정 수준의 학습동기를 갖지 못하는 원인으로는,
첫째, 학습자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지 않은 학습 자료를 준비했기 때문이다.
논거: 민아는 글자만 빼곡한 활동지를 받고 학습 자료에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둘째, 학습자의 출발점을 진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논거: 민아는 수준에 맞지 않는 어려운 문제지 때문에 학습 동기를 갖지 못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가 학습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거: 자신의 성적이 잘 나온다고 해도 만족하지 못하고 무관심한 민아의 말에서 알 수 있다.
넷째, 학습 내용을 자신과 관련짓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거: 민아는 자신과 공부하는 내용 사이에 관련성을 찾지 못하고 무조건 공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논점3)의 논거
김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방안으로는,
첫째,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 학습 자료를 준비한다.
논거: 사진, 동영상 등 시청각 자료나 궁금증을 유발하는 자료 등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관심을 유발한다.
둘째, 학습자의 출발점을 진단한다.
논거: 학습자의 수준 파악을 위해 진단 평가를 실시하고, 수준에 맞는 자료를 제공하여 자신감을 높인다.
셋째, 학습자가 학습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논거: 학습한 후에 피드백이나 강화를 주어 만족감을 느끼게 한다.
넷째, 학습 내용을 자신과 관련지을 수 있도록 한다.
논거: 학습자에게 친밀하고 익숙한 상황을 제시하거나 학습자의 사전지식을 활성화하여 관련성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
서론&결론
1. 서론
학생에 대한 학습동기 부여의 필요성
2. 결론
학습동기 부여와 참여 유도를 위한 교사의 노력 필요
'교육 > 교직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교육과정 개선(개발 까닭, 학교 상황 분석 고려 요인, 학교 공간, 교육과정의 의미) (0) | 2023.09.16 |
---|---|
학생 맞춤형 교육 (교육과정 문해력, 교사전문성 신장, 과정중심 평가 등) (0) | 2023.09.16 |
2014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2015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2016학년도 초등임용 교직논술 (0)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