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인지적 융통성 이론 & 상황인지

by ⓨⓐⓝⓖ 2021. 6. 24.
반응형

인지적 융통성 이론

 인지적 융통성이란 여러 지식의 범주를 넘나들고 연결하면서 상황적 요구에 탄력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을 말한다. 여러 가지 각도, 시각에서 발아보고 이해하는 능력이다. 문제해결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을 컴퓨터시스템에 저장을 하고,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진 다음,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인지적 융통성을 발휘하는 방법이다.

 

인지적 융통성을 위한 환경조성

 다양한 사례를 많이 보여주는 것이 학습에 효과적이다. 문제의 맥락이 복합적이고 비구조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컴퓨터를 통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응용한다. 학습하고자 하는 개념이 언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실제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한다.

 


상황학습(상황인지)

 인간의 사고가 상황에 적응된다고 보고, 맥락이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는 이론이다. 동호회와 같은 실천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학습을 의미한다. 생명력을 가진 지식, 실천 공동체에서 참여로서 학습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 의미 : 개인적이든 집단적이든 우리가 우리의 삶이나 세상을 경험하는 데 사용하는 능력
  • 실천 : 구성원들 사이에 오랫동안 공유해 온 행위 양식 혹은 이해틀이나 관점
  • 공동체 : 우리의 행위에 대해 가치를 부여하고 그 행위를 하나의 역량으로 인정하는 사회적 실체
  • 정체성 : 학습이 우리의 정체성과 그 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원기반학습(RBL)  (0) 2021.06.26
문제중심학습(PBL)  (0) 2021.06.25
정착학습(앵커드 학습)  (0) 2021.06.23
인지적 도제이론  (0) 2021.06.22
구성주의 학습  (0) 2021.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