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문답법

by ⓨⓐⓝⓖ 2021. 7. 4.
반응형

문답법 개념

 문답법은 대화법이라고도 하며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질의·응답을 통하여 학습목표에 도달하려는 방법으로 강의법과 함께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학습 형태의 하나이다.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플라톤의 대화법이 대표적인 예이다.

 

문답법 장점

  • 학습목표를 명확히 밝혀주기 때문에 초점이 분명한 학습활동을 조성할 수 있다.
  • 학습에 자극을 주어 활기 있고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해진다.
  • 적극적인 흥미와 동기유발이 가능하다.
  •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주어 발표력과 주체적인학습이 가능하다.
  •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문답법 단점

  • 사고의 통일과 연속서을 방해할 우려가 있으며 학습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어 사고의 영역을 한정시키기 쉽다.
  • 우수아 중심의 수업으로 흘러 학습부진아들에게 좌절감을 주기 쉽다.

 

발문의 처리

  • 성공적인 대답에 대해서는 칭찬과 격려로써 성공감을 갖게 하여 자신감을 부여한다.
  • 구체적으로 틀린 곳을 지적하여 격려가 섞인 칭찬을 하여 줌으로써 자기의 결점을 찾게하여 계속적인 학습활동이 되게 한다.
  • 중개 발문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파지력과 전이력을 높인다. 즉, 학생의 대답을 전체 학생에게 다시 물어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한다.

 

질문돌리기&재질문

질문돌리기는 고성취 학생에게 좋은 반면, 저성취 학생에게는 재질문이 효과적이다.

 

발문의 활용
  • 교사가 묻고자 하는 질문의 유형을 사전에 계획한다.
  • 발문은 간결하고 명료하며 논의에 맞는 형태로 제시한다.
  • 학생들로 하여금 생각할 시간을 적절하게 가지도록 한다.
  • 학생들을 긴장상태에 있게 한다.
  • 교사의 발문을 다시 하거나 탐사가 들어가기 전에 학생이 응답을 마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 학생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준다.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SURE모형  (0) 2021.07.06
데일, 경험원추설  (0) 2021.07.05
토의법 유형  (0) 2021.07.03
토의법  (0) 2021.07.02
강의법  (0) 2021.07.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