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답법 개념
문답법은 대화법이라고도 하며 교사와 학생 상호간의 질의·응답을 통하여 학습목표에 도달하려는 방법으로 강의법과 함께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학습 형태의 하나이다.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과 플라톤의 대화법이 대표적인 예이다.
문답법 장점
- 학습목표를 명확히 밝혀주기 때문에 초점이 분명한 학습활동을 조성할 수 있다.
- 학습에 자극을 주어 활기 있고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해진다.
- 적극적인 흥미와 동기유발이 가능하다.
-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주어 발표력과 주체적인학습이 가능하다.
-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문답법 단점
- 사고의 통일과 연속서을 방해할 우려가 있으며 학습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어 사고의 영역을 한정시키기 쉽다.
- 우수아 중심의 수업으로 흘러 학습부진아들에게 좌절감을 주기 쉽다.
발문의 처리
- 성공적인 대답에 대해서는 칭찬과 격려로써 성공감을 갖게 하여 자신감을 부여한다.
- 구체적으로 틀린 곳을 지적하여 격려가 섞인 칭찬을 하여 줌으로써 자기의 결점을 찾게하여 계속적인 학습활동이 되게 한다.
- 중개 발문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파지력과 전이력을 높인다. 즉, 학생의 대답을 전체 학생에게 다시 물어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한다.
질문돌리기&재질문
질문돌리기는 고성취 학생에게 좋은 반면, 저성취 학생에게는 재질문이 효과적이다.
발문의 활용
- 교사가 묻고자 하는 질문의 유형을 사전에 계획한다.
- 발문은 간결하고 명료하며 논의에 맞는 형태로 제시한다.
- 학생들로 하여금 생각할 시간을 적절하게 가지도록 한다.
- 학생들을 긴장상태에 있게 한다.
- 교사의 발문을 다시 하거나 탐사가 들어가기 전에 학생이 응답을 마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 학생에게 즉각적인 피드백을 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