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데일, 경험원추설

by ⓨⓐⓝⓖ 2021. 7. 5.
반응형

경험원추설

 구체성과 추상성의 관계에서 원추의 아래부터 위로 올라갈수록 추상성이 높아지며 반대로 아래로 내려올수록 구체성을 드러내고 있다. 인간이 하게 되는 모든 경험은 현실 그 자체와 같은 직접적·목적적 경험으로부터 구체성이 높고, 마지막에는 언어·기호화 같이 추상적인 경험에 이르는 원추모양으로 되어있다.

 

경험의 원추

  • 직접적·목적적 경험 : 생활의 실제 경험을 통해 의미있는 정보와 개념을 축적한다.
  • 구성된 경험 : 직접적인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실물의 복잡성을 단순화시켜 기본적인 요소만을 제시한다.
  • 극화된 경험 : 직접 접할 수 없는 사건이나 개념을 경험하도록 한다. 연극을 보거나 출연함으로써 경험할 수 있다.
  • 시범 : 중요한 사실, 생각 과정의 시각적 설명이다. 사진, 그림, 동작을 활용하여 그 경험을 보여주는 것이며 시범은 곧 실제로 실행하는 결과를 갖게 된다.
  • 현장 견학 : 그 일이 실제 일어나는 현장에 직접 가서 보고 경험하는 것이다.
  • 전시 : 사진전시, 그림전시 등 학습자에게 보여줌으로써 학습자는 전시된 것을 관찰하며 배운다.
  • TV와 영화 : TV는 사건이나 현장을 담아서 편집하고 수록할 수 있는 동시성을 지니고 있으며 학습자들에게 직접 경험의 감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영화는 보고 듣는 경험을 제공하며 현실감을 느끼고, 사실이나 상황을 제작하고 극화하므로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 녹음물, 라디오, 사진 : 위의 매체들보다 간접적이긴 하ㅣ만 동기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이며 글을 모르는 학습자들에게는 적절한 매체이다.
  • 시각적 상징 : 추상적 표현으로 칠판, 지도, 도표, 차트 등을 통해 실제 물체를 나타내기도 하고 시각적인 기호로 표현하기도 한다. 시각기호는 학습자의 경험과 분명한 연관이 있을 때 기호로써 효과적이다.
  • 언어적 상징 : 본질적으로 아무 의미없는 부호로 경험을 압축시킨 것이다.

 

학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경험의 원추의 구분이 학습자의 연령과 관련된다. 발달단계가 낮은 학습자일수록 직접적 경험에 가까운 방법, 높은 학생은 상징적 언어에 의한 학습을 한다. 학습자가 경험의 원추 상에서 상단에 있는 매체를 통해 학습할 수 있게 되면 학습 자료를 학습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되어 효율적이다. 학습자가 경험의 원추 상에서 하단에 있는 매체를 사용하게 되면 성공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반응형

'교육 > 교수방법론 및 교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설계의 개념  (0) 2023.03.22
ASSURE모형  (0) 2021.07.06
문답법  (0) 2021.07.04
토의법 유형  (0) 2021.07.03
토의법  (0) 2021.07.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