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한국교육사11

정약용, 실학교육 교육적 인간상 수기위천하인으로 자기 자신을 수양한 다음, 사회를 위하여 봉사하는 실용인이다. (=실용인, 사회적 자아실현) 교육내용 오학론 : 성리학, 훈고학, 문장학, 과거학, 술수학 등을 반대한다. 다섯 가지 학문은 진정한 실용인 삶에 방해가 된다. 삼부가독설 : 천자문, 사략, 통감절요(전통적인 유학교육에서 사용)를 읽어서는 안 된다. 세 가지는 중국의 모화 사상이 담겨있어 올바른 학습서가 되지 못한다. 또, 천자문을 대신할 천자문의 아학편을 편찬하였다. 효·제·자 : 효제자를 주장한다. 명명덕, 신민, 지어지선 등 대학의 3강령은 효제자이다. 효는 부모와 임금을 섬기는 것이고, 제는 어른을 섬기는 것이고, 자는 대중을 부리는 것이다. 국학 : 우리나라의 학문과 역사를 사랑하고 공부해야 함을 강조한.. 2021. 6. 12.
실학 실학 실학은 조선 후기에 대두된 일련의 현실 개혁적 사상체계를 말한다. 성리학을 극복·지양하려는 사상으로 발생했다. 실학형성의 요인 내재적 요인 : 신분제도해체, 학문변화, 지식인 요구, 자기반성, 이이의 영향을 받았다. 외재적 요인 : 서학유입, 실용적 학문의 유입 등이다. 실학의 교육적 의의 교육 기회 균등 : 서민들도 자유롭게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신분이나 문벌보다는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상급 학교의 진학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개인차·능력주의 : 인간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능력에 의한 교육을 주장하였따. 교육제도개혁 : 공교육의 필요성과 단계적인 학제를 주장하였다. 교육과정개혁 : 사대주의적 한서와 중국역사를 비판하였으며, 교육과정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2021. 6. 12.
이황 & 이이 이황 교육이념 경(敬)의 사상을 주장한다. 교육목적 성리학의 인간상인 성인의 양성이다. 교육방법 잠심자득 : 마음을 고요히 하여 깨닫는 방법이다. 입지 : 학문을 하는 데 근본이 되는 정신적 준비 태세이다. 궁리 : 학문에는 명백한 이치에 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숙독 : 독서는 다만 문장의 뜻을 이해하는 데 있지 않고 완전히 익혀야만 비로소 마음에 보존되고 활용할 수 있다. 심득궁행 : 도리로 자기가 알아야 할 바를 삼고 덕행으로 자기의 행할 바를 삼아야 한다. 교육내용 주자대전을 제일로 추천하였다. 「태극도설」, 「심경」 철학사상 이기호발설 저서 「성학십도」 이이 교육이념 입지 : 공부의 뜻을 세운다. 학문을 하는 데 근본이 되는 정신적 준비 태세이다. 명지 : 밝게 알기 위한다는 것이다. 명지를 위해.. 2021. 6. 12.
조선, 서당 교육대상 양반 자제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의 자제들에게 기초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사설 초등교육기관이다. 교육내용 및 방법 교육내용은 강독, 제술, 습자교육이 이루어졌다. 교육방법은 각각 능력에 맞는 정도의 교과를 택하여 속독하고, 능력에 따른 개별학습이 주어졌다. 서당의 성격 사설 초등교육기관의 성격을 지녔다. 종래의 서당은 사적인 서재서당으로 서원에 예속된 성격을 띠었다. 17세기 중엽에는 서원으로부터 분리, 독립하여 공동체적 향촌서당으로 인식되었다. 서민의 자제에게도 교육의 기회를 주었다. 서당의 교육적 의의 개인차를 중시하는 개별화 교육이 실시되었다. 서민 교육의 확대를 가지고 왔다. 조선 후기 사회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초등 교육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제시대 민족 지도자를 양성하였다. 2021.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