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생교육
평생교육은 1960년대부터 유네스코,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인간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직적 교육과 수평적 교육을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통합시킨 교육이다. 평생교육은 새로운 교육의 출현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을 하나의 교육으로 보는 관점이나 사고의 변화이다.
평생교육의 필요성
- 지식과 정보의 폭발적인 양적 증가와 질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 학교교육의 한계성과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 인간 수명의 연장과 여가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 일생을 통한 개인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서이다.
- 인간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교육 소외집단에 대한 교육적 배려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평생교육제도의 모형
- 통제모형 : 전체주의 국가에서는 교육이 국가의 온전한 지배하에 운영된다. (강한 국가통제, 사부담)
- 사회주의모형 : 사회주의국가들은 교육이 국가에서만 제공되고 동시에 무상으로 운영된다. (강한 국가통제, 공부담)
- 복지모형 : 교육기회를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기본교육은 무상으로 실시하고, 그 이상의 교육에 대하여도 국가재정으로 교육기회를 제공하거나 교육비를 국가가 부담한다. (약한 국가통제, 공부담)
- 시장모형 : 국가가 직접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교육에 드는 비용도 학습자들이 부담하면 된다는 것이다. (약한 국가통제, 사부담)
반응형
'교육 > 교육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교육제도 (0) | 2021.09.12 |
---|---|
평생학습사회 (0) | 2021.09.11 |
가정교육 & 사회교육 (0) | 2021.09.09 |
페다고지 & 안드라고지 기본가정 (0) | 2021.09.08 |
선행교육 (0) | 2021.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