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교육행정

관료제조직

by ⓨⓐⓝⓖ 2021. 6. 11.
반응형

관료조직

 관료조직은 외형적으로 파악되는 조직의 형태가 아니라 내부의 성격(특징)에 의해 규정되는 조직이다.

 

특징

  • 분업 또는 전문화 : 관료제는 조직구성원에게 직무를 적정하게 배분하고 분업화, 전문화시킨다.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직무의 흥미상실, 지루함 분파주의, 할거주의를 유발한다.
  • 몰인정성 : 비인정성 또는 비정성으로도 표현한다. 관료제는 조직의 운영에 개인의 감정, 인정이 포함되지 않는다. 의사결정의 합리성을 높여준다. 사기저하 비인간주의를 유발한다.
  • 권위의 계층 : 관료제는 계급제 또는 계층제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엄격한 위계제가 있다는 뜻이다. 의사결정의 신속성 조직 운영이 효과적이다. 상향적 의사소통과 쌍방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 규정과 규칙 : 관료제는 잘 작성된 규정과 규칙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들 규칙과 규정은 어느 경우에나 예외없이 일관되게 적용된다. 과업수행의 계속성 안정성, 통일성이 있다. 조직의 경직성 목표전화현상, 동조과잉, 문서주의 번문욕례, 형식주의를 유발한다.
  • 경력 지향성 : 승진, 진급에 직장 근무 경력이 우선시되는 특징을 지칭한다. 직업의 안정성과 신분보장을 통해 충성심을 갖게 한다. 경력과 능력간의 갈등, 무사안일에 빠진다.
반응형

'교육 >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풍토  (0) 2021.06.11
이완결합조직  (0) 2021.06.11
계선조직 & 참모조직  (0) 2021.06.10
조직이론  (0) 2021.06.10
상황이론 & 지도성  (0) 2021.06.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