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영어교육론

전신 반응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TPR

by ⓨⓐⓝⓖ1 2023. 3. 23.
반응형

전신 반응 교수법 소개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은 Asher에 의해 창안된 교수법으로 교사의 명령(command)에 학습자가 신체 반응으로 본인의 이해를 표현하는 것이다. 발화에 대한 강요 없이 행동으로 반응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긴장은 낮추고 이해에 집중할 수 있다. 이는 초등학생의 인지 발달 및 행동 특성에 부합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교수 기법(technique)으로 많이 활용된다.

 

이론적 배경

 Asher는 목표어 문법 구조와 어휘의 대부분은 교사의 전랴걱 명령문 사용을 통해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모국어 학습 과정과 마찬가지로, 제2 언어 학습자는 듣기를 통해 목표 언어를 내면화한다. 듣기로 언어 표현을 이해하고 난 후 말하기와 다른 표현기능이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들은 스스로 표현 능력을 갖추기 전까지는 듣고 이해하는 것에만 집중한다.

 모국어 습득이 불안과 긴장감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제2 언어 학습도 학습자의 정의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추상적인 언어 형태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동작을 통해 의미에 집중함으로써 학습자는 남을 의식하며 스트레스 받는 상황에서 자유로워지고 온전히 학습에 집중할 수 있다.

 좌뇌는 지적 논리적 분석적 역할과 발화를 담당하고, 우뇌는 감각 운동 및 언어의 이해와 관련되어 있다. TPR 이전 대부분의 교수법은 주로 좌뇌에 자극하는 교수법이었다. 그러나 모국어 습득 과정을 보면 아동은 우뇌를 통해 언어를 이해하고 이후 좌뇌를 통해 발화한다. 따라서 Asher는 좌뇌를 자극하기 이전에 움직임을 통해 우뇌를 충분히 자극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충분한 우뇌 학습이 이루어졌을 때, 좌뇌 학습이 촉발되어 언어를 발화하고 보다 복잡한 언어 처리가 시작된다.

 

수업 적용

 TPR의 목표는 초기 학습자에게 구어 능숙도(oral proficiency)를 지도하는 것이다. 이해는 목표를 위한 수단이며, 궁극적 목표는 기본적인 말하기 기술을 지도하는 것이다.

 문법과 어휘를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항목을 바탕으로 문장 단위의 교수학습 요목(sentence-based syllabus)을 사용한다. 문법적 특징 및 어휘 항목은 빈출도보다는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황과 학습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문법 기반의 관점이나 구조적 관점을 가지는 교수법들과 달리, TPR은 초기에 언어 형태가 아니라 의미에 관심을 두며, 문법은 귀납적으로 지도된다.

 명령문 연습활동(imperative drill)을 주로 사용한다. 행동으로 이해를 표현하게 하는 의문문(interrogative)을 사용할 수도 있다. 초심자에게는 교사의 목소리, 행동 및 제스처만 있으면 충분하기 때문에 기타 자료가 필요하지 않다. 이후 학생 수준의 증가에 따라 교사는 책, 펜, 컵, 가구와 같은 교실 물건을 사용할 수 있다.

 

장단점

 동작을 사용하여 언어의 의미를 명료하게 제시할 수 있고 학생의 이해 수준을 즉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움직임을 좋아하는 초등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교수 방법이다. 정의적 요소를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불안이 감소된다. 신체활동과 연계하여 언어를 배움으로써 기억력이 증가하고 장기 기억에 유리하다.

 4 기능의 고른 발달을 도모하기 어렵고 추상적이고높은 수준의 언어를 가르치는 데 한계가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