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LT 소개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LT)의 한 갈래로, 수업 활동의 기본 단위를 과업(task)으로 제시하는 교수법이다. 즉, TBLT는 과업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실제적이고 비언어적 목적을 위해 의미를 교환하고 언어를 사용하게 하는 접근법인 것이다. CLT가 왜라는 문제를 다룬다면, CBLT는 방법의 문제를 다룬다고 볼 수 있다.
Skehan의 정의에 따르면 과업이란 의미가 주되고 해결해야 할 의사소통 문제가 있고, 실세계의 수사한 활동과 관련이 있어야하며, 과업 완료가 우선권을 갖고, 결과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비언어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 배경
언어는 의미를 만드는 수단이다. 언어는 실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이다. TBLT에서 언어 숙달은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이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된다. 따라서 수업은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요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각자가 언어를 사용할 상황에 맞게 학습자를 준비시켜야 한다. 언어 사용은 기능 통합을 수반한다.
의미 협상은 이해가능한 입력과 출력의 기회를 제공한다. 입력의 언어 형태적 특징을 알아차릴(noticing)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자 자신이 구사하는 제2 언어와 실제 제2 언어 사이의 차이를 인식(notice the gap)할 기회를 제공한다. 과업을 통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은 스캐폴링을 통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Focus-on-form이 언어학습을 촉진한다. 문법은 맥락과 분리되어 별도로 지도되는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의사소통 속에서 지도된다.
수업 적용
TBLT는 요구 분석(needs analysis)을 반영하여 목표를 설정한다. 명확한 실제적 필요 규명이 쉽지 않은 어린 학습자의 경우 일반적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과 관련하여 목표를 설정한다. TBLT 교수학습 요목은 학습자가 수행해야 할 과업을 순차적으로 명시한다. 최종 목표 과업 달성을 위한 주요 과업을 도출한 후, 주요 과업 달성을 위한 부과업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교수학습 요목을 개발한다.
과업 활동을 통해 언어르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기준을 무엇으로 잡느냐에 따라 과업의 유형은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실생활 과업(real-world task)는 요구 분석과 실생활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된 과업을 수업에서 예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과업이다. 전화 걸기와 같은 것이 예가 된다. 교수 과업(pedagogical task)은 실생활 과업을 반영하지는 않지만 언어습득 이론이나 연구에 바탕을 두고 수업을 목적으로 고안된 과업이다. 정보차 과업과 같은 것이 예가 된다.
적절한 과업을 충분히 제시할 수 있는 자료를 사용하며, 실물(realia)이나 기술(technology) 등을 사용한다. 수업은 하나의 과업이 아니라 과업들의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pre-task, task cycle, language focus의 세 단계로 구성이 되며, 수업의 초점은 유창성(fluency)에서 시작해서 정확성(accuracy)으로 옮겨진다. pre-task는 과제 수행을 위한 도입 단계로 이 또한 그 자체로 과업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주제와 과업의 목표를 이해하고, 관련된 배경지식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하거나, 메인 과업을 수행하는 영상을 보거나, 메인 과업과 관련된 간단한 pre-task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과업 수행시 필요한 어휘 표현들에 노출되게 된다. task cycle은 과업을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학습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언어 지식을 동원하여 표현하고 싶은 것을 말할 기회를 가진다. 교사는 학습자가 말하고 싶어하는 것을 말할 수 있도록 돕되, 오류를 교정하기 위해 의사소통을 차단하지는 않는다. post-task는 과업 수행에 대해 반성과 고찰하는 시간을 가지며, 학습자가 사용한 언어에 초점을 맞춘 과업을 수행한다.
장단점
실생활에서 달성할 필요가 있는 과업을 수행하여 실제적 언어 사용이 가능하다. 협력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으므로 책임감(accountability)을 기를 수 있다. 단점은 교수 자료를 개발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창의력이 요구될 수 있으며 과업의 난이도라는 개념을 정의하기 어렵다.
'교육 > 영어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학습자의 성취도를 좌우하는 정의적 요인 (0) | 2023.03.25 |
---|---|
영어 듣기의 이해 과정 (0) | 2023.03.25 |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0) | 2023.03.23 |
자연적 접근법 Natural Approach: NA (0) | 2023.03.23 |
전신 반응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TPR (0) | 2023.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