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적 도덕 심리학 알아보기

by ⓨⓐⓝⓖ 2023. 3. 29.
반응형

 인지 발달론적 도덕 심리학은 피아제와 콜버그에 의해 크게 발전하였다.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 이론은 기본적으로 도덕 발달을 지적 발달과 연관 지어 탐구하는 태도에서 출발하였다. 그는 도덕성을 도덕적 판단 능력으로 보고 도덕성 발달을 그의 지적 발달 이론의 한 부분으로 취급했다. 그는 도덕은 규칙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덕성은 인간의 정신이 이 규칙들을 어떻게 존중하게 되는지를 설명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고 전제하고, 규칙에 대한 아동들의 의식 또는 태도를 분석하여 아동들의 분석 양상을 밝혀내고자 했다. 그리하여 규칙에 대한 아동들의 생각과 태도, 도덕적 책임감, 그리고 공정성이나 정의에 대해 일련의 연구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들의 도덕성은 타율적 도덕성에서 자율적 도덕성으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이 때 타율적 도덕성은 자기중심적 도덕 단계와 권위주의적 도덕 단계로, 자율적 도덕성은 상호성의 도덕 단계와 공정의 도덕 단계로 다시 구분될 수 있다. 자기중심적 도덕 단계의 아동은 가역적 인식 능력이 매우 제한되어 있어 자신의 견해와 타인의 입장을 잘 구분하지 못하며, 가치 세계의 도덕 법칙과 사실 세계의 자연법칙을 혼동하는 동시에 도덕 법칙이 외부의 사물처럼 실재한다고 보는 등 도덕 적 사실주의의 정향을 나타낸다.

 권위주의적 도덕 단계의 아동은 권위에 의존하여 도덕 판단을 하므로 모든 규칙과 규제를 자신들의 외부에서 부과되는 것으로 인식하며, 그러한 규칙과 규제를 부여하는 어떤 절대적인 권위적 힘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권위에 대한 일방적인 존중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상호성의 도덕 단계는 인간 사이의 협력과 조화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향으로 아동들의 도덕 판단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나타난다. 즉, 도덕 규칙은 사회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며, 그것이 존중되어야 하느 이유가 사회의 안저노가 조화로운 삶을 위한 데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이 단계의 아동들은 조작적 사고 능력을 갖추게 되는데, 이러한 사고 능력은 도덕적 삶의 세계에도 적용되어 도덕 규칙을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대우하려느 상호성의 표현으로 보게 된다.

 공정의 도덕 단계는 이타성과 사회애를 중심으로 하는 인간사이의 진정한 평등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도덕 판단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호성의 도덕 단계에서 평등은 정의나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법적 관계의 성격이 강했지만, 공정의 도덕 단계에서 평등은 공감적 연민을 바탕으로 하는 도덕적 관계로서 나타나는 면이 강하다. 따라서 평등을 획일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개인이 처해 있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도덕 판단의 태도는 도덕적 자율성과 함께 도덕적 창의성으로 연결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