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길리건의 배려와 책임의 도덕 심리학 알아보기

by ⓨⓐⓝⓖ 2023. 3. 29.
반응형

 콜버그의 도덕 발달 및 도덕 교육론에 여성학자 길리건이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다. 그녀는 그동안 남성들 위주로 연구된 도덕 발달론 외에 여성적 관점의 접근에 기단을 둔 도덕 발달론이 있을 수 있다는 점과 기존의 심리학 이론 구성에서 구락되었던 여성들의 삶과 경험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양성의 도덕적 삶에 관한 보다 포괄적이고도 새로운 관점의 심리학 이론이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 기반하여 11세의 제이크와 에이미가 보인 반응을 하인즈 딜레마에 대한 반응을 콜버그의 도덕 발달 단계론과 다른 각도에서 해석해 내었다. 하인즈 딜레마에 대한 반응 중 제이크는 그 문제를 인과관계에 있어 일종의 수학적 문제와 같은 것으로 보고 논리의 힘에 준거하여 이성에 따라 합리적으로 해결 방법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에 비해, 에이미의 반응은 재산과 법보다는 도둑질이 하인즈와 그의 아내의 관계에 미칠 영향을 고려했다. 말하자면 그 도덕적 딜레마가 하인즈와 그의 아내 그리고 약사라는 인간 사이의 관계의 맥락에서 파악되었으며, 문제의 본질은 약사의 권리 주장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하인즈와 그 아내에 대한 반응의 실패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제이크의 도덕 세계가 논리와 법의 체계로 그리고 비인격성의 세계로 구성되어 있다면 에이미의 그서은 상호 관계와 그 속에서의 의사소통 그리고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인격성의 세계로 나타나고 있다. 제이크에게 있어 도덕적 갈등은 권리와 이익의 다툼이요, 그 해결이 정의의 원리에 따른 논리적 추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면, 에이미에게 있어 도덕적 갈등은 상호 관계의 단절로부터 발생하는 것이요, 이는 타인에 대한 온정적 배려와 그의 복지에 대한 책임 그리고 의사소통으로 해결되는 것이었다.

 여기서 남성적 도덕과 엿어적 도덕 사이에 차이가 나타난다. 도덕 영역의 개념에 있어 남성의 도덕은 정의와 권리의 언어로 구성되는 데 비해, 여성의 그것은 따뜻한 배려와 책임의 언어로 나타난다. 또한 도덕적 갈등의 해결 양식에 있어 남성은 위계화된기준과 논리적 연역, 대안들의 서열화 그리고 분리적, 독립적 개인의 숙고에바탕을 두는 데 비해, 여성의 그것은 온정과 의사소통, 상호 연계성의 인간관계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길리건은 다양한 인종적 배경과 사회 계층에 속해 있는 15~33세의 임신 3개월 이내인 여성 29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절 결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여성들이 도덕 문제를 어떻게 구성하며 갈등에 어떻게 대응하고 어떤 대안들을 고려하며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 지 등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배려의 도덕성은 대체로 3수준 2과도기를 거쳐 발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자기 생존과 이기성,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의 이행, 책임과 자기희생, 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의 이행, 비폭력적 배려와 책임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길리건은 여성들이 인간관계 속에서 자신들을 규정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돌보는 능력과의 관련 속에서 자신들을 판단한다는 점, 여성의 도덕성은 권리보다는 책임을 강조하며 분리보다는 연결을 그리고 개개인의 독립보다는 상호 관계를 우선한다는 점, 여성들의 관점에서 볼 때 도덕 문제는 권리 사이의 충돌이라기보다는 책임들 사이의 갈등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형식적이고 추상적이기 보다는 맥락적이고 대화적인 사고 양식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남성의 도덕성 발달에서는 권리와 규칙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공정성의 관계가 핵심이 되는 데 비해, 엿어의 도덕성 발달에서는 책임과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배려가 핵심이 된다는 점 등을 강조하였다.

 결국, 길리건은 도덕의 영역에는 남성의 도덕으로 이름할 수 있는 정의와 권리의 도덕 외에 여성의 도덕이라 할 수 있는 따뜻한 배려와 책임의 도덕이 존재함을 밝혀냈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르 ㄹ바탕으로 이러한 정의 지향적 도덕성과 배려 지향적 도덕성은 상호 보완적이고 또 그렇게 접근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한편, 이러한 현상과 관점들이 기존의 윤리학과 도덕 심리학 및 도덕 발달론 그리고 도덕 교육에서 고려 또는 보완되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고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