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도덕교육론

나딩스의 배려와 책임의 도덕 심리학 알아보기

by ⓨⓐⓝⓖ 2023. 3. 30.
반응형

 나딩스는 길리건이 제기한 배려 윤리를 도덕 철학 및 도덕 교육에 중점을 두어 탐구하고 발전시켰다. 나딩스는 자신의 배려 윤리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비롯된 실천 윤리라고 분명히 규정짓고 출발한다. 그녀는 기존의 윤리학이 도덕 원리를 수립하는 일과 그것으로부터 논리적으로 추론될 수 있는 것에 주로 집중되어 왔음을 지적하면서 이러한 윤리는 주로 아버지의 언어 속에서 원리와 법칙, 전제와 논리적 정당화, 공정성과 정의 등과의 관련에만 관심이 있다고 비판한다. 그녀는 이러한 윤리학은 궁극적으로 싸움과 죽임, 폭력, 만행 그리고 모든 종류의 정신적 고통을 수반하면서 파멸로 흘러가게 된다고 보고 있다.

 그리하여 나딩스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배려의 윤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녀는 여성이 남성보다 배려의 윤리에 적합하다고 보면서 이는 부분적으로는 어머니 - 자식 사이의 깊은 심리학적 구조의 결과에서 비롯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배려의 윤리는 여성주의적 관점으로부터 비롯되는 어머니의 윤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려의 윤리는 전통적 의미의 여성성, 즉 수용성, 관계성, 반응성에 바탕을 두는 것으로서 원리와 도덕적 추론이 아닌 도덕적 태도 또는 선에 대한 열망으로 부터 시작하는 윤리라고 할 수 있다.

 나딩스는 배려를 사람이나 사물 등의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염려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의 준거 체제로부터 다른 사람의 준거 체제로 들어가는 것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았다. 나딩스의 관점에서 배려는 관게적인 것으로서 배려하는 사람과 배려받는 사람 사이의 연결 또는 만남으로 정의된다. 이때 관계란 서로를 정서적으로 인식하는 개인들의 연결 또는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에 대해 무엇을 느끼는 이련의 만남이라고 정의된다.

 나딩스의 관점에서 관계는 존재론적 기초이며 배려 관계는 윤리적 기초가 된다. 이때 관계가 존재론적 기초가 된다는 것은 인간의 만남과 정서적 반응이 인간 존재의 가장 기본적인 사실이 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배려 관계의 전형으로서 모자간의 배려 관계를 들고 있다. 배려는 배려받는 사람이 배려에 대해 반응을 보일 때 완성되므로 상호성이 매우 중요한 덕목이 된다. 이런 관계를 현실화하는 데 기쁨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참된 배려 관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배려하는 사람에게 몰두와 동기적 전치의 의식 상태가 요구된다.

 나딩스는 이러한 배려 윤리에 기초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이 배려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배려 지향의 도덕 교육이 교육의 본질과 목적이 되어야 하며, 교육의 내용은 윤리적 이상의 지향, 진정으로 좋은 사람을 추구하는 교육, 전사의 모델이 아닌 어머니의 모델에서 비롯되는 교육요소들의 반영, 배려의 주제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 교육 내용의 새로운 구성과 조직, 배려의 주제들을 제대로 가르치기 위해 주위에서 보는 모든 것들을 배려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창출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배려 윤리 교육의 구체적 방법으로 모델링, 대화, 실천, 인정, 격려 등을 가조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