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 등에 의해 개발된 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은 불확실성과 가치 혼동을 그 특징으로 하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무엇이 바람직한 행위인지를 심사숙고해 보지도 않은 채 단순한 충동이나 감각적 선택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리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학교는 학생들에게 이성적이고도 깊은 자기 성찰에 기초하여, 자신이 스스로 선택하고 이를 소중히 하고 존중하면서 생활 속에서 능동적으로 행위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모형은 자기의 가치에 대한 명료한 인식과 이성적이고도 합리적인 의사 결정, 그것에 대한 정서적 애착과 존중,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인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강조하는 데 중요한 특징이 있다.
이 모형의 특정 가치를 강조하여 가르치기보다는 가치를 획득하는 과정, 즉 개인의 가치화 과정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리하여 이 모형은 가치화 과정에서 중요 요소가 된다고 보는 선택, 존중, 행위 등의 측면에 따라 7단계 가치화 과정을 구상, 제안하고 있다. 이 모형은 도덕적 상대주의의 조장 위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하나 그 나름대로 중요한 장점들을 또한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 모형은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 선택과 바람직한 태도 형성을 위해 수업 과정에서 쓸 수 있는 대화 전략, 쓰기 전략, 토론 전략, 결과 인식 확대 전략 및 그 외 다양한 방법들을 구안하고, 제시해 주는 장점이 있다. 이 모형의 구체적인 단계와 운영 방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문제 사태는 규범 간의 갈등 요소들이 담겨 있고, 여러 가지 행동의 방안들이 강구될 수 있는 것으로 제시한다. 물론 학생들의 생활과 관련되어 있고, 그들의 이해 범위에 알맞으면서 관심과 흥미를 일으키는 것이어야 한다.
문제 사태에서 어던 행동 방안을 택할 것인지, 그 밑바탕에 깔린 가치 입장은 어떤 것인지, 왜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등의 자기 입장을 선택하고 그것을 정당화하게 한다. 이때 자유롭게 선택하고 여러 대안으로부터 선택하며 대안들의 결과를 심사숙고하여 선택하기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에는 자기가 선택한 바에 대해 그것을 스스로 받아들이고 공격으로 확언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게 한다. 교사는 가치 선택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선택한 바를 소중히 하고, 자기가 선택한 것이 만족스러운지, 그리고 선택한 바를 다른 사람들에게 기꺼이 확언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게 함으로써 그 정당성과 수용 여부를 성찰해 보도록 한다.
가치 명료화 수업 모형에 따르면 가치에 대한 선택과 존중 다음에는 그것을 실제 행동으로 구현해 갈 것인지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자기가 선택한 바를 행동으로 나타내고 또 그것이 생활 속에서 지속적으로 반복적으로 실천되어야만 진정한 그의 가치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는 이러한 측면들을 짚어 보게 하면서 자기의 가치 입장을 보다 명료하게 이끄는 일, 학생 개인 차원이나 모둠 또는 학급 차원에서 바람직한 가치 추구의 방향을 존중하고 격려하여 실천적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일 등을 추구할 수 있다.
'교육 > 도덕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 분석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
가치 갈등 해결 수업 모형 (0) | 2023.03.31 |
합리적 의사 결정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집단 탐구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도덕적 토론 수업 모형 알아보기 (0) | 2023.03.31 |
댓글